소개글
정신지체아의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리포트입니다.목차
Ⅰ. 머리말Ⅱ. 본론
1.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의 이론
1)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의 개념
2)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의 철학적 배경
3)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의 특징
2.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의 개발과정
1) 정신지체 학생의 교육모형
(1) 행동모형
(2) 발달모형
(3) 생태모형
2) 생태학적 모형에 기초한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
3) 생태분석과 환경목록의 작성
(1) 생태분석
(2) 환경목록
4) 교육과정 개발 모형 - 하향식 접근 모형
3.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의 지도: 지역사회 중심의 기능적 교수-학습
4.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의 평가
Ⅲ.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머리말언젠가 텔레비전 어느 프로그램에서 가수 이상우의 아들 이승훈 군을 본 적이 있다. 발달장애인 그를 수영유망주로 키워낸 이상우부부의 이야기가 한시도 눈을 뗄 수 없게 했었다. 일반인 또래들과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계속 만들어 주고 그 안에서 조금씩 발전된 변화를 보이는 승훈이의 모습은 꽤나 인상적이었다. 가능하면 혼자서 자립하는 법을 알려주기 위해 승훈이 혼자 심부름을 보낸다거나 일반인 또래 캠프에 참가시키는 등의 활동을 경험하게끔 하였고 이를 통해 자신 안에 가둬져 있던 승훈이는 세상을 향해 한 발짝씩 내딛고 있었다. 혼자 심부름을 하는 과정에서 승훈이는 길 건너는 법,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법, 원하는 물건을 고르는 법, 계산을 하는 법 등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하는 모든 과정을 하나하나 배우고 있었다. 또한 일반인 또래 캠프에 참가하면서 또래 친구들을 사귀는 법, 어울리는 법 등의 대인관계 기술 등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한 것들을 직접 경험하면서 배우고 있었다. 그리고 수영을 통해 자존감, 자신감등을 얻는 등 승훈이는 혼자서 살아가기 위한 단계를 하나씩 하나씩 경험을 통해 배우고 있었다.
이처럼 장애학생이 독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기술들을 습득시키고 졸업 후 사회에 완전히 통합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 이것이 바고 특수교육의 목적이다. 그리고 장애학생이 지역사회에 완전히 통합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교실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생활에 필요한 실제적인 기술을 배울 수 있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환경을 포함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 중도장애아 교육도 전통적인 방법에서 기능적이고 보다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기술들을 가르쳐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박승희, 1997; 이소현, 1997; Orelove & Sobsey, 1996). 바로 이것이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의 핵심이다.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은 정신지체 학생들의 지역사회 통합을 위해 그들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서 일어나는 일상생활 장면을 교육 활동으로 선정하여 지역사회에서 직접 활동하게 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참고 자료
김영환 (1996).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국립특수교육원.김민수 (2005).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활동이 정신지체 학생의 사회 적응 기술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백종남 외(2008).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정서장애학교 학부모의 요구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연구, 43(2), 179-197.
부산혜성학교 (1996). 정신 지체 학교의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 개별화 방안. 부산혜성 학교
신현기외 (2007). 특수교육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윤광보 (2002). 정신지체아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정신지체 연구, 4, 101-117.
윤광보 (2008). 정신지체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육내용 쟁점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9(2), 339-357.
한상희 (2008). 기능적 생활중심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중학생의 일상행활 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