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서구지역의 신산업지구- 한국의 사례(현대경제지리학)
- 최초 등록일
- 2009.11.13
- 최종 저작일
- 2009.08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비서구지역의 산선업지구- 한국의 사례(현대경제지리학) 요약본입니다.
서울의 신산업지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제 11장. 비서구 지역의 신산업지구: 한국의 사례
1. 한국에서의 신산업지구 기원
1.1 산업 및 지역정책의 방향
1.2 구미: 전자 및 섬유산업단지
1.3 안산: 공해산업을 위한 산업단지로 출발
2. 구미와 안산 산업지구의 조직과 구조
2.1 산업 전문화
2.2 기업규모, 소유권, 국지적 연계와 타지역 연계
2.3 노동력 구조재편
3. 한국 산업지구의 역동성
4. 종합과 전망
본문내용
제 11장. 비서구 지역의 신산업지구: 한국의 사례
○· 과거20년간, 서구경제가 투자와 무역연계를 통하여 점차적으로 통합되어 감에 따라 기존의 도시 및 지역성장 패턴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 많은 국가에서, 구도시의 몰락과 도시계층의 역전을 수반하면서 신도시가 성장하여 왔다.
○ 이러한 대개편에 부수되는 주요한 현상은 신산업도시의 등장이다.
- 신산업도시는 수출지향적인 산업이 기반을 내리고 있고, 고용 및 인구 성장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다른 지역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 유럽: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와 같이 다시 회생된 구 산업지역이 신산업지구로서의 분석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미국: 실리콘밸리의 전자 및 컴퓨터 단지, 오렌지카운티 및 보스턴의 루트 128 등
○ 한국이 경우,
- 구미는 대규모 전자 및 섬유산업단지이고
- 울산은 운송장비단지,
- 포항은 제철산업단지이며
- 안산은 서울에서 이전한 공해산업의 집적에서 출발하였고,
- 창원은 방위산업이 집적해 있는데
-이들을 유연적 전문화에 의한 산업지구의 발달로 해석할 수는 없다.
○ 미국과 같이 한국에서도 이들지역의 성장은한국의 도시체계를 흔드는 지역간 인구이동및 대도시로부터의 고용분산을 촉발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 그러나 이들 사례의 대부분은 유럽이나 북미의 모델과는 다르기대문에, 다양한 산업주체와 산업지구 형성요인으로 분석
1. 한국에서의 신산업지구 기원
1.1 산업 및 지역정책의 방향
○ 한국의 중앙정부는 1960년대 초 이후 경제발전 과정에서 부문정책을 선도하였다.
- 기업이 성장능력을 갖추게 하기 위해 금융지원, 조세감면, 수입통제, 수출촉진정책, 훈련보조 등이 사용되었다.
- 산업수출의 확대가 주요한 목표 , 그 전략은 각각 주어진 단계에서 가장 유망한 산업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