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과 중국어 한자어 비교 연구목차
제1장 서론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3 선행연구 및 검토
제2장 중국어와 한국 한자어의 특징
2.1 중국어
2.1.1 중국어의 변천
2.1.2 중국어의 특징
2.2 한국 한자어
2.2.1 한국 한자어의 변천
2.2.1 한국 한자어의 특징
제3장 한·중 한자어 의미의 비교 분석
3.1 한자어 의미의 축소
3.2 한자어 의미의 확대
3.3 한자어 의미의 전이
제4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구의 방법 및 범위한자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야 한다. 따라서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의 비교·분석이 필요하다.
언어 크게 통시적인 방법과 공시적인 방법으로 비교한다. 동시적인 방법은 시간을 거스르면서 언어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는 방법이고, 공시적인 방법은 같은 시기의 서로 다른 언어를 비교하는 방법이다.
언어는 고정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누적과 공간의 이동에 따라 변화·발전된다. 한국의 한자어는 생성된 방법과 시기가 다르고 전해 들어온 경로가 다양하며, 어휘체계와 중국어 어휘체계와 다르다. 체계와 의미상의 차이가 있지만 한·중 한자어의 관계는 여전히 일정한 법칙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공시적 방법을 통하여 한자어의 변화와 발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착안하여 동일시기에 서로 다른 지역에 사용되고 일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중국어와 한국 한자어에 대한 공시적 대비의 시각에서 출발하여 연구 범위를 다음과 같이 정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중국어의 경우 《現代漢語詞典》에 나와 있는 한자어로 제한하기로 한다. 그리고 한국어의 경우는 주로 《民衆 엣선스 國語辭典》과 《8282漢字辭典》,《韓國語 敎育用語彙 硏究》를 참고할 것이다.
그리고 국내외에서 출간되어 있는 한국어의 한자어와 대응되는 중국어의 대비에 관한 어학저작, 사전과 논저를 참고자료로 택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를 시행하는 필요성과 목적, 연구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고, 2장에서는 중·한 한자어의 변천과 특징에 대하여 고찰해 보겠다. 3장에서는 한·중 한자어의 의미의 확대와 축소, 전이를 분석하고 4장에서는 앞의 내용을 토대로 한·중 한자어를 비교된 점을 정리하여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가 되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Ⅰ. 국내姜信沆 外 6人,< 韓國語文의 諸問題>, 一志社.1985.pp.124~125.
文璇奎,,<中國言語學>, 민음사, 1990.p.214
成元慶, <韓·中兩國에서 現用하는 漢字語 比較考>, 省谷論총 8(10),1977.p302.
李庸周, <한국 한자어에 대한 연구>, 三英社,1974.p.1
李元淳 外 3人, <國史>, 한국 방송통신대학 출판부, 1991.p.74
장흥권, <조선어, 한어, 일본어 현대어휘와 그 변이에 대한 대비 연구>, 민족출판사,1999.p.74
鄭在潤,<우리말 色彩語의 낱말밭>, 국어교육,1988.pp.63~64
정은혜,<한·중 한자어의 이질화연구>,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1988.p.10
沈在箕, <한자어의 구조와 그 조어력>,국어생활-4.1987.p.25
香坂順一, <中國言語學入門>, 고려원, 1986.pp.246~247
黃慈仁,<韓中日 同形의 漢字語 意味對照>, 全北大어학, 1993.p.106
Ⅱ. 국외
郭锡良 外(編), <古漢語語彙講話>,北京出版社.1981.p.89
劉振铎 (編),<現代韓語實用詞典>,東北朝鮮民族敎育出版社, 1996.p827
王力, <漢語史稿>,北京中華書局.1980.p.484
Ⅲ. 사전류
<中韓辭典>, 고대 민족문화 연구소 중국어대사전편집실,1992. p.526.
<中韓大辭典>, 진명 出版社, 1993.
人民敎育出版社中學語文室,<現代漢語知識>, 人民敎育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한자를 중심으로 한 한국과 중국의 언어 비교 연구 31페이지
- 한중 한자어 유형 비교 연구 92페이지
- [한문]한자의 이해> 한자의 유래와 우리 나라에서의 한자 10페이지
- 한국한자어와 중국어의 의미차이 8페이지
- 한․일 양 언어에 나타나는 한자어 비교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