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대(明代) 중엽 이후부터 청말(淸末)에 이르는 시기에 국가의 기능을 절대화하게 한 윤활유 역할을 한 것은 바로 신사(紳士)였다. 세계학계에서 명ㆍ청시기의 신사층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1940년대부터였고, 가장 집중적인 연구가 진행된 것은 1960〜70년대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세계학계의 신사층 연구는 여러 가지 약점을 지니고 있으며 아직은 완전한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거나 연구가 극히 부진한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세계학계에서 추구해 온 신사층 연구를 총정리해 본 후 몇 가지 남은 문제를 재음미해 보려 한다.
명대(明代) 중엽 이후부터 청말(淸末)에 이르는 시기에 국가의 기능을 절대화하게 한 윤활유 역할을 한 것은 바로 신사(紳士)였다. 세계학계에서 명ㆍ청시기의 신사층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1940년대부터였고, 가장 집중적인 연구가 진행된 것은 1960〜70년대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세계학계의 신사층 연구는 여러 가지 약점을 지니고 있으며 아직은 완전한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거나 연구가 극히 부진한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세계학계에서 추구해 온 신사층 연구를 총정리해 본 후 몇 가지 남은 문제를 재음미해 보려 한다.
목차
1. 신사층(紳士層)의 형성
(1) 학위소지자의 출현
(2) 학위소지자의 계층적 고정화
(3) 신사층의 성립
2. 명대의 국가권력과 신사
(1) 원말ㆍ명초동란기의 지배층과 주원장(朱元璋)집권
(2) 중기 이후의 사회변화와 신사
(3) 신사의 사회경제적 역할
1. 신사층(紳士層)의 형성
(1) 학위소지자의 출현
명대의 생원(生員)ㆍ감생(監生)ㆍ거인(擧人)은 모두 요역우면특권(徭役優免特權)을 비롯한 종신적인 여러 특권을 국가로부터 부여받았다. 이 때문에 이들은 단지 학위소지자에 불과한데도 평민층과 다른 특권신분에 포함되었다. 명ㆍ청시대 이들의 사회적 성격이 당ㆍ송시대의 그것과 다르고 또 사상적ㆍ실제적인 면에서 사대부계층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가능성은 바로 여기에 있다. 또한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한 사회적 배경은 이전과 달리 국자감(國子監)과 과거제(科擧制)가 결합, 학교체계가 과거체계내에 포섭된 데 있었다. 환언하면, 과거제와 학교제가 가지는 사회적 기능은 이미 명초부터 전시대와 다르게 변화되었다. 그러나 명초에는 이러한 이들(관직경력자와 학위소지자)을 ‘신사(紳士)’로 인식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이 명대 중기 이후 “신사”로 불리게 된 계기와 과정은 다른 곳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 (중략)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