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nts는 일종의 당단백질로 사람에서는 19가지 종류의 Wnt protein이 있다.
Wnt protein은 cysteine-rich-secreted ligand로 자가분비(autocrine) 또는 측분비 (paracrine)를 통해 세포막 수용체에 결합하여 수용체매개신호전달경로(receptor-mediated signal transduction pathway), 즉 Wnt 경로를 활성화시킨다.
Wnts는 일종의 당단백질로 사람에서는 19가지 종류의 Wnt protein이 있다.
Wnt protein은 cysteine-rich-secreted ligand로 자가분비(autocrine) 또는 측분비 (paracrine)를 통해 세포막 수용체에 결합하여 수용체매개신호전달경로(receptor-mediated signal transduction pathway), 즉 Wnt 경로를 활성화시킨다.
목차
1. Subject: Wnt signaling pathway
2. Introduction
1) Wnt protein
2) Wnt signaling pathway
3) Wnt protein이 없는 경우
4) Wnt protein이 있는 경우
3. Reference
본문내용
1) Wnt protein
Wnts는 일종의 당단백질로 사람에서는 19가지 종류의 Wnt protein이 있다.
Wnt protein은 cysteine-rich-secreted ligand로 자가분비(autocrine) 또는 측분비 (paracrine)를 통해 세포막 수용체에 결합하여 수용체매개신호전달경로(receptor-mediated signal transduction pathway), 즉 Wnt 경로를 활성화시킨다.
Wnt protein은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 뿐 아니라, proliferation, migration, polarity, gene expression 등 다양한 세포 활동을 조절한다. 특히 태생기에 매우 중요한 물질이며, 림프조직이나 대장, 피부, 모낭, 뼈와 같은 성인의 regenerating tissue에서도 활성화되어 있다.
Wnt는 인간의 oncoprotein으로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나중에는 발생과정에 중요한 단백질 이라는 것이 알려졌다. 특히, 초파리의 날개 발생에 관련된 wingless(wg) 유전자로서 각광 을 받게 되었다. 쥐와 사람에서는 Int-1이라는 유사채가 있는데 이것은 유방암과 관계있는 oncoprotein이다.
2) Wnt signaling pathway
Wnt signaling pathway란 Wnt gene 에 의해서 Wnt receptor 가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서 세포 내에서 순차적인 반응이 일어나는 것(intracellular signaling cascade)을 Wnt signaling pathway 라고 한다
참고자료
· Cadigan K. M. (2002) Wnt signaling – 20 years and counting. Trends Genet. 18, 340-342.
· http://home.uos.ac.kr/~ej70/Wnt.htm
· http://home.uos.ac.kr/~ej70/reserch.htm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