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문학에서 큰 자리를 잡고있는 심리주의를 크게 작가,작품,독자 심리학으로 나누어 분석 한 후 무진기행과 이상의 작품을 이에따라 분석해본다.
목차
1. 개관
2. 창작의 심리 (작가심리학)
3. 작품의 심리적 분석 (작품심리학)
4. 독자에 대한 심리적 영향 (독자 심리학)
5. 정리
6. 실제 작품분석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개관
문학 창작 할 때 상태
문학정신, 시상, 영감
작가심리학
그것을 받아들일 때의 상태
정서, 감동
독자심리학
문학작품 내부 요소
성격, 동기
작품심리학
① 문학정신, 문학적 감동, 시상, 영감, 정서, 성격, 동기 등의 용어는 모두 사람의 심리적 상태를 표현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② 문학 창작 과정에 대한 의견
ㄱ. 플라톤
⇒ 시인은 기술적 능력에 의하여서가 아니라 알 수 없는 신의 능력에 의해서 노래는 부르는 것. 즉, 시는 남에게 전수될 수 있는 기술(art)이 아니라 초인간적인 세력이 특정한 사람의 입을 통해 말의 형태로 새어 나온 물건이다.
✓ 플라톤의 <이온>
- 문학 공박 위해 작가 및 독자 정신 상태를 쟁점으로 삼다(최초의 예)
- 창작 : 철저한 영감설 주장 + 시의 철저한 비이성적 성격 강조
= 최초 형태의 창작 심리학
ㄴ. 아리스토텔레스
✓ 아리스토텔레스
- 문학은 일종의 모방 ➩ 모방은 인간이 본능적으로 즐거워하는 행위
= 문학적 창작은 본래부터 즐거운 것 = 초보적인 창작심리학
③ 독자심리학에 대한 의견
ㄱ. 플라톤
⇒ 문학이 이성적 생활을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온당치 않은 감정을 터뜨리도록 자극을 준다는 이유로 문학 해독론을 전개함.
ㄴ. 아리스토텔레스
⇒ 문학이 독자에게 주는 영향 ->카타르시스
☞ <카타르시스>, <문학해독론> 둘 다 소박한 형태의 독자심리학을 지칭
④ 문학의 심리적 연구의 3대 분야
⇒ 창작심리학, 독자심리학, 작품심리학
창작심리학이나 작품심리학에 비해 독자심리학은 최근에 연구가 시작.
2. 창작의 심리 (작가심리학)
<창작심리>
① 전통적으로 시적 영감은 창조의 필수 전제조건인 바, 그것은 신비로운 것, 완전히는 알 수 없는 것으로 여겨져 옴.
참고자료
· 막스 밀네르, 이규현 역,『프로이드와 문학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1997
· 이상섭, 『문학 연구의 방법 』 탐구당, 200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