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현재 우리 한국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음악을 듣거나, 백화점등에 가서 쇼핑을 하거나, 공연을 관람하거나, 영화를 감상하거나, TV를 시청하는 등 다양한 대중문화를 접하며 행하며 소비하고 있다. 위에 나열한 것들만을 대중문화라고 지칭하기에는 한계점들이 있지만 본인은 현재 우리가 사는 현 시점에서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 논의해 보도록 하겠다. 어쩌면 대중매체 없이는 살 수 없을 정도로 현재의 우리는 대중매체와 대중문화, 즉 한국인으로써의 한국인의 대중문화에 중독되어 있는지도 모른다. 일부 엘리트층의 문화가 아닌 모든 대중들이 즐겨 소비하는 문화가 대중문화이며, 이러한 대중문화에 있어서도 올바른 대중문화와 옳지 않은 대중문화가 존재한다고 본인은 생각한다. 따라서 본 리포트에서 주제에 대응하는 본인의 대중문화에 대해 개인적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소개 및 의견제시를 하도록 하겠다.
<본론>
한국대중문화가 갖는 주체성과 정체성
한국의대중문화의 주체성과 정체성이란, 한국인이 한국인만의 독특한 저력에 의해서 인터넷 문화, 방송, 라디오, TV, 영화, 드라마, 음반 시장, 패션 등을 통한 한국인 각각의 개인이 모여 다중 문화를 이끌어가는 한국인들의 정신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들이 가진 문화와 생각, 행동들이 모여서 바로 한국대중문화가 될 것이다. 문화의 주체성이라는 것은 개인 혼자가 만들 수 있는 것도 아니며. 또한 사회의 어떠한 권력에 의해서나 다른 문화에 흡수되어서도 안 되는 그 국가의 고유한 문화이어야 한다. 대중문화에 참여를 하고 있는 구성원들의 원하는 바, 바라는 바, 가지고 있는 생각이 비슷한 사람들이 모여서 일체를 이루어 그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의 합일점이 아마 정체성으로 표현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한국 대중문화의 주체는 넓게 포괄해서도 10~30대가 될 것이다. 좁게는 10~20대의 선호와 트렌드에 의해서 한국대중문화가 주를 이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듯싶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