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학 총론 정리 및 민속학 조사방법론
- 최초 등록일
- 2009.10.30
- 최종 저작일
- 2009.10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민속학 총론과
한국, 미국, 독일, 일본 도시 민속학 총 정리와
민속학 조사방법론 정리 리포트
목차
1. 민속과 민속학
2. 민속학의 연구 대상
3. 도시 민속학의 출현
4. 미국의 도시 민속학
5. 독일의 민속학
6. 일본의 도시 민속학
7. 한국의 도시 민속학
민속학의 조사 방법론
8. 현지 조사 방법론이란?
9. 현지 조사에 들어가기 전 고려해야 할 사항들
10. 현지 조사를 시작하며
11. 정보 제공자에 대한 인터뷰
12. 구체적 사례 : 구비문학의 현장 조사
본문내용
[1장] 한국 민속학의 역사와 전환
1. 민속과 민속학 최운식 외, 『한국 민속학 개론』(서울 : 민속원, 1998) 제1장 요약.
가. 민속과 민속학의 개념
- ‘民俗’이란 용어의 유래 : ‘민속’이라는 용어가 문헌에 처음 등장한 것은, 고려시대 17대 인종 때, 김부식이 편찬한 《삼국사기(三國史記)》다. 《삼국사기》 권 제 1, 신라본기 제 1, 유리니사금(儒理尼師今) 조에 ‘민속’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 유리왕 5년(28년)에 “민속이 환강하여 처음으로 도솔가를 지어 부르니 이것이 가락(歌樂)의 시초다.”라는 내용이 기록. 영어로 포클로어(folklore), 독일어로 폴크스쿤데(Volkskunde).
- 민속과 민속학의 범주 : 민속은 한 문화권 내에서 다수가 향유하는 전통적이고 보편적인 문화이다. 여기에는 사상․철학․종교․예술․구전물․풍속․놀이․축제 등의 정신문화와 의식주를 포함하여 각종 문화재, 생산양식과 생산도구․경제체계 등의 물질문화가 두루 포함. 민속학은 이들을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 민속학의 목적 : 한국민속학은 한국의 민속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민속학이 민속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민속 그 자체의 연구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궁극적인 목적은 그 민속을 생성․전승시키면서 그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의 무리인 ‘민족’을 연구하는 것. 그래서 한국 민속학의 기본 목적은 한국 민족의 연구가 됨.
나. 각국의 민속학 개념
-독일의 ‘Volkskunde`: ‘민족학’으로 번역되며 인류학과 구별된다.
-영국 및 미국의 ‘folklore’ : ‘민간전승’ 내지는 ‘민간지식’의 의미를 가지며 주로 언어적 민간전승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출발하였다.
-김태곤의 민속학 : ‘인간학으로서의 민속학’
2. 민속학의 연구 대상
가. 이두현 외 《한국민속학개설》의 분류.
마을과 가족생활 : 마을, 가족과 친족, 관혼상제.
관혼상제 : 출산의례와 관례, 기자, 혼례, 상례, 제례.
의 식 주 : 각 시대에 따른 의․식․주생활.
민간신앙 : 민간신앙의 성격, 무속, 가신신앙, 동제.
세시풍속 : 세시풍속의 의의를 비롯하여 각 계절의 세시풍속 등.
민속예술 : 민속악과 민속무용. 민속극, 민속공예.
구비문학 : 민요, 설화, 무가, 판소리, 속담과 수수께끼, 구비문학의 전통.
참고 자료
리처드 M. 도슨, 민속조사방법론, 전남대출판부, 1998.
줄리아크레인․마이클 앙그로시노, 문화인류학 현지조사방법, 일조각,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