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서양 역사학 강의나, 교양과목으로 수강하시는 역사학 과목의 리포트로 제출하시기에 딱 알맞는 자료입니다. 물론 제가 직접 작성한 것이구요, 각주를 꼼꼼히 기록하고 참고문헌도 마지막 장에 서술하였습니다.이 자료의 기본 문제의식은 우리가 통념적으로 알고 있는 역사적 사건에 대한 관점에서 벗어나 비판적인 관점에서 접근해보는 것입니다. 그래서 전 프랑스혁명을 주제로 선택하였습니다. 우리가 보통 프랑스 혁명을 계몽사상과 자유와 평등 같은 숭고한 이념에 의해서 발생한, 서양시민사회의 출발점이라고 상식적으로 알고 있지않습니까? 저는 이러한 통념을 배제한 채, 프랑스 혁명의 어두운 면모를 드러내고자 했습니다.
역사학 관련 강의 교수분들이 이와 비슷한 과제를 내주실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이 리포트로 좋은 평가를 받은걸로 기억하고 있구요. 이용해주셔서 좋은 학점 받으시길 바랍니다.
목차
Ⅰ. 주제 선택의 의도와 보고서 작성 과정Ⅱ. 프랑스 혁명에 대한 교과서적 관점 비판
ⅰ. 만들어진 ‘구제도의 모순’
ⅱ. 재정문제의 실상
ⅲ. 계몽사상의 영향
ⅳ. 순수한 이념에 의한 혁명?
Ⅲ. 교과서의 관점 평가와 대안 제시
참고 문헌
본문내용
서구 유럽의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를 고르라면 프랑스 혁명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프랑스 혁명은 서양의 역사에서 매우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프랑스 혁명이 다른 혁명이나 반란보다 중요히 여겨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아마도 프랑스 혁명이 영국이나 아메리카의 혁명보다 더 큰 사회적, 정치적 파장을 일으켰고 유럽 전체의 역사를 바꾸었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혁명을 겪고 난 후, 프랑스는 급속한 국가 발전을 이루었고 유럽의 최강국 중 하나로 성장하였으며 혁명의 여파는 유럽 전체로 확산되어 서구 유럽 사회를 변혁시켰다.이렇게 엄청난 역사적 중요성을 가진 프랑스 혁명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역사로부터 교훈을 얻고자하는 혹자로서 매우 중요한 의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과서가 중요하다. 다음 세대의 교육을 위한 지식과 정보를 담고 있는 교과서는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관점에서 역사를 조명하여야 한다. 그래야만이 우리의 후손들이 올바른 역사관을 갖고 역사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리포트는 프랑스 혁명의 원인에 대한 대안적인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가 프랑스 혁명에 대해 상식적으로, 교과서적으로 당연시해왔던 사실에 대한 문제제기와 신랄한 비판을 가할 것이다. 프랑스 혁명에 대한 균형 잡힌 역사관 정립을 위하여, 그리고 우리가 당연시하던 교과서적 상식들이 다른 관점에서 본다면 다르게 보일 수 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리포트를 작성하였다.
프랑스 혁명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한 뒤 에야 비로소 수준 높은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여 혁명에 관한 다양한 문헌을 읽어보고 인용하였다. 그리고 이 참고 문헌들을 빠짐없이 각주로 표기하였다. 보고서의 주제 선정과 논지 형성에 김민제 교수님의 『프랑스 혁명의 이상과 현실』로부터 많은 도움을 얻었다.
참고 자료
Fontana, Biancamaria. "Rousseau`s Ambiguity." TLS, Sept. 22, 1995.Furet, Francois and Denis, Richet, trans. by Stephen Hardman. French Revolution. N.Y.: Macmillan, 1970.
Goldstone, Jack A. Revolution and Revellion in the Early Modern World. Berkeley: Univ. of California Press, 1991.
Hampson, Norman, "In the King`s Defence," TLS, Feb. 5, 1993.
Herr, Richard. Tocqueville and the Old Regime.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 Press, 1962.
Parker, Noel. Portrayals of Revolution: Images, Debates and Patterns of Thought on the French Revolution. Hemel Hempstead, Herefordshire: Harvester Wheatsheaf, 1990
Schama, Simon. Citizens: A Chronicle of the French Revolution. N.Y.: Alfred A. Knopf, 1989.
Sobul, Albert. Precis d`histoire de la Revolution francaise. Paris: Editions Sociales, 1975.
Weber, Eugen. "The Nineteenth-century Fallout." Geoffrey Best, editor, The Permanent Revolution: the French Revolution and its Legacy, 1789-1989.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1989.
김민제, 『프랑스 혁명의 이상과 현실』, 역민사, 2002.
이세희. 『프랑스 혁명사 연구』,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4.
김은숙 외 4인,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교학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