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주거 지원방안 연구
- 최초 등록일
- 2009.10.22
- 최종 저작일
- 2007.10
- 3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노인주거 지원방안을 제시 하기 위해 논문형식으로 자세하게 쓴 레포트로서
직접 설문조사를 하고 문헌자료를 참고 해서 작성한 성의있는 레포트로 A+을 받았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Ⅱ. 문헌고찰 및 이론적 배경
1. 노인과 주거
2. 노인 주거지원 관련 제도 현황
1) 노인복지 현황
2) 노인 주거관련 법제 및 조직
Ⅲ. 연구방법
Ⅳ. 분석 및 결과
1. 노인 및 예비노인층의 주거욕구 분석
1) 조사대상자의 특성
2) 조사대상단지의 특성
3) 주거욕구 분석
(1) 노인의 주거욕구
(2) 예비노인의 주거욕구
2. 현재 주거실태 현황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1)사회적 측면
2)경제적 측면
3)서비스적 측면
<참고문헌>
<부록>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65세 이상의 노년인구 비율이 7%를 초과하면 고령화 사회,14%를 넘으면 고령사회라고 한다.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20세기 초반에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고 영국, 독일, 프랑스 등은 70년대에 고령사회가 됐다. 유엔의 발표에 의하면 2050년 전 세계 인구는 100억 명으로 증가하고 이 중 60세 이상 노인인구는 20억 명에 이를 것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인구의 고령화 추세와 같이 우리나라의 노인인구도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990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백16만명으로 전체 인구(4천3백39만명)의 5.0%였다. 하지만 2000년부터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 인구의 7.2%를 넘는 고령화 사회가 되었고 통계청의 인구전망에 의하면 한국은 앞으로 50년 동안 고령화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2020년에는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인구의 15.7%를 차지하는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경우 전 세계에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노인문제 해결을 위해 점차적으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온 서구사회에 비해 우리나라는 미처 준비를 하지 못한 채 고령사회를 맞게 되었다. 빠른 고령화에 대비해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우리나라는 고령화 충격에 심각하게 빠질 수 있다.
정부에서는 1981년 노인 복지법 제정 이후 관심을 가지고 복지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주로 저소득층의 생활보호 차원 정도로 머무르고 있어 전반적인 노인 복지 정책은 거의 시행되지 못하고 있고 그 중에서도 특히 고령화 시대 주거의 중요성을 입각한 대책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노인 복지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이 바로 주택으로서, 노인은 신체적으로 노화 현상을 겪으면서 쇠약한 상태의 시기에 있으므로 노인에게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서비스적 측면에서 주거가 노인의 복지에 끼치는 영향이 크다. 그러므로 노인은 일반인과는 달리 많은 주거지원을 제공하여 주거 환경을 만족시켜줌으로써 노인의 복지와 정신 건강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게 해야 한다
참고 자료
법제처 http://www.moleg.go.kr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http://www.kaswcs.or.kr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태룡(2006) 노인복지론, 대구대학교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