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민족의 주체성을 강조한 북학파 실학사상에 대한 고찰
목차
목 차
Ⅰ. 실학의 등장
Ⅱ. 실학의 성격
Ⅲ. 중상주의 실학사상의 개념 및 목표
Ⅳ. 대표적인 실학자
1. 선구자 농암 유수원
2. 과학사상가 담헌 홍대용
3. 북학이론과 연암 박지원
4. 검약주의를 부정한 초정 박제가
(1) 북학의의 구성
(2) 북학의의 중심내용
Ⅴ. 실학사상의 의의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실학의 등장
실학사상을 발생시켰던 내재적 요인의 첫 번째는 조선왕조가 직면하고 있었던 통치 질서의 와해(瓦解) 현상에서 찾을 수 있다. 집권층의 벌열화(閥閱化), 전통적인 수취체제의 붕괴, 사회적 신분체제의 혼란, 농업 위주의 경제 질서에 대한 도전 등은 조선왕조 전기의 통치 질서가 와해되어 감을 뜻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사회변동에 직면한 조선왕조는 전면적으로 본질적인 개혁이 요청되었으나 당시 대부분의 집권층은 이에 대한 명확한 개혁방안을 제시하지 못했고, 다만 그들에게 보장된 특권에 안주하며 경직된 통치 질서를 유지하기에 급급했다. 이에 일부 진보적인 관료들과 재야의 지식인들이 국가체제를 강화하고 민생을 안정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혁정치의 이념과 방법을 제시하게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실학사상이 형성될 수 있었던 것이다. 실학이 발생하게 된 두 번째 요인은 조선왕조의 지배원리였던 성리학의 半역사성이었다. 임진왜란 후 사회의 모든 분야에 걸쳐 부조리가 드러나고 새로운 변화가 나타남에 따라 전면적이고 본질적인 변화가 요청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운영의 지도 원리였던 성리학은 그 합리적 수습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17세기에 이르러 성리학의 명분론은 당쟁을 합리화시키는 이론적 근거가 되었고, 성리학의 예론 등은 당쟁에 빌미를 제공해 주기까지 했다. 그 때문에 성리학에 대한 반성과 반발이 일어나게 되었고, 성리학적 학문체계를 벗어난 학문의 형성이 요청되고 있었다.
실학 발생의 세 번째 요인으로는 조선 후기 사회의 경제적 변화와 발전을 들 수 있다. 이 시기는 농업경제 분야에 있어서 농민분해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그것을 주의 깊게 관찰한 실학자들은 농민분해 과정에서 출현한 상업적 농업경영자 및 `경영핵 부농`의 이익을 대변하는가 하면 다른 일부의 실학자들은 토지의 농민적 소유를 강력히 주장하기도 했으며 또 지주의 존재 자체는 인정한다 하더라도 소작조건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도 했다. 한편, 실학사상은 그것과 깊은 관련을 가지면서 화폐 상품 경제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일정한 역할을 했다. 조선 후기의 경제적 변동은 바로 실학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었던 것이다.
실학 발생의 네 번째 배경은 조선 후기의 사회계급면의 변동을 들 수 있다. 조선 후기 사회에서는 중세적 신분질서가
참고 자료
※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14, 197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론』 4 , 민족문화사, 1992
주홍성·이홍순·주칠성, 『한국의 실학사상』, 서울, 삼성출판사, 1994
천관우, 『한국의 인간상』제4권, 신구문화사, 1965
최성영, 『한국유학사상사』ⅳ 下, 아세아문화사, 1995
유형원 외, 강만길 역 - 『한국의 실학사상』, 삼성출판사, 1994
역사학회, 『실학연구입문』, 일조각, 1997
오가와 하루히사, 하우봉 역, 『한국실학과 일본』, 한울,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