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 윤선도의 작가론적 및 작품론적 접근, 고산 윤선도 작품의 문학적 의의, 고산 윤선도의 작품연구, 고산 윤선도의 유배 및 은둔생활 심층 분석(고산 윤선도, 고산, 윤선도, 윤선도의 작품, 윤선도의 문학)
- 최초 등록일
- 2009.10.06
- 최종 저작일
- 2009.10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고산 윤선도의 작가론적 및 작품론적 접근, 고산 윤선도 작품의 문학적 의의, 고산 윤선도의 작품연구, 고산 윤선도의 유배 및 은둔생활 심층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고산 윤선도의 작가론적 및 작품론적 접근
1. 작가론적 접근
2. 작품론적 관점
1) 자연관
2) 어부사시사
Ⅲ. 고산 윤선도 작품의 문학적 의의
Ⅳ. 고산 윤선도의 작품연구
1. 불교적 작품
2. 도가적 작품
3. 유교적 작품
Ⅴ. 고산 윤선도의 유배 및 은둔생활
1. 부용동 지역
2. 낙서재
3. 동천석실
4. 세연정
5. 판석포
6. 녹우당
참고문헌
본문내용
윤선도의 생애에는 몇 가지 특이한 사항들이 발견되었다. 어린 시절 생부모(生父母)를 떠나 양부모(養父母) 밑에서 지낸 것, ≪소학(小學)≫을 중시한 것, <병진소(丙辰疏)>를 올려서 권신(權臣) 이이첨(李爾瞻)을 논박하다가 경원(慶源)으로 유배간 것, 인평대군(麟坪大君)과 봉림대군(鳳林大君)의 왕자사부(王子師傅)를 지낸 것, 관직을 수행할 적에 자신의 생각을 굽히지 않은 것, 병자호란(丙子胡亂)을 당하여 보길도(甫吉島)에 들어가 은거한 것, 유배지에서도 거문고를 타며 노래하기를 그치지 않은 것 등이 그것이었다. 이로써 드러난 윤선도의 심리적 특성은 자신의 욕망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자아가 매우 발달하였다는 것, 그리하여 사사로운 정분(情分)보다는 공평무사한 이치(理致)를 중시하였다는 것, 강한 자기확신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 임금에 대한 감정은 복종과 지배가 상호 관련되어 있는 복합적인 감정이었다는 것, 음악은 억제된 욕망의 출구였다는 것, 보길도는 어린 시절 잃어버린 어머니의 품속과도 같은 영역이었다는 것 등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고 윤선도의 문학이 연군지정(戀君之情)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여러 가지 소재들을 통하여 임금과의 애정관계가 굴절되는 양상들을 검토함으로써 윤선도 문학의 특성을 탐색한 결과 윤선도 문학의 특성을 가장 집약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작품은 <오우가(五友歌)>였다. 요컨대 윤선도 문학의 기저가 되고 있는 연군지정은 ꡐ선택받는ꡑ 연군지정이 아니라 ꡐ선택하는ꡑ 연군지정이었다. 사대부들의 연군지정을 노래한 시가사의 흐름은 임금에 대한 충성심을 직접적으로 노래하거나 남녀간의 애정에 빗대어 노래하는 데서부터 자연을 노래하는 데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가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비추어 볼 때 윤선도의 문학은 연군지정을 자연을 통하여 노래하는 흐름에 속하는 것이면서, 그동안 대부분 ꡐ선택받는ꡑ 연군지정의 영역에 머물러 있은 데 비해서 ꡐ선택하는ꡑ 연군지정의 영역을 새롭게 개척한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군지정을 기저로 한 윤선도의 문학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특성은 어떠한 심
참고 자료
김대행(1976), 한국시가구조연구, 삼영사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문학분과(1998), 격변기에 산출된 강호미학의 정점-고산 윤선도, 한국 고전문학 작가론, 소명출판
박성의(1968), 송강·노계·고산의 시가문학, 현암사
원용문(1989), 윤선도문학연구, 국학자료원
이정자(2003), 시조문학 연구론, 국학자료원
이재수(1955), 윤고산연구, 학우사
최동원(1980), 고시조론, 삼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