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옹패설』의 기록분석
- 최초 등록일
- 2009.09.23
- 최종 저작일
- 2007.10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소개글
역옹패설에 실린 여러 인물들에 대한 기록을 통해 이제현의 의식 및 역옹패설의 성격을 심도있게 논의한 글
목차
1. 머리말
2.
본문내용
1.머리말
무신정변이 일어난 100년 뒤. 1270년(원종 11년) 무인집정이 끝이 나고, 새로운 혁신 세력인 신흥사대부가 대두한다. 이들은 立身行道의 유교사상을 기본교양으로 하였고 자신의 출신과 역사에 대한 사명의식을 자각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밖으로는 元에 사대교린의 외교관계를 유지하면서, 안으로는 무신정권의 유제를 청산하여 국정을 쇄신하고자 하였다.
李齊賢(1287~1367)은 이러한 신흥사대부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제국의 힘에 기대어 왕권에 혈안이 되어 있었던 附元輩와는 달리 왕권을 강화하고 무신집정기의 유제를 청산하여 古制를 회복하였다. 아울러 이 일련의 과정을
참고 자료
『高麗史』, 아세아문화사 영인, 1972.
『高麗史節要』, 아세아문화사, 1973.
『新元史』, 鼎文書局
白文寶, 『淡菴逸集』(고려명현집 5, 대동문화연구원), 1973.
徐居正, 『東文選』
, 『東人詩話』
安軸, 『謹齋集』(고려명현집 2, 대동문화연구원), 1973.
李奎報, 『東國李相國集』(고려명현집 1, 대동문화연구원), 1973.
李齊賢, 『益齋亂藁』(고려명현집 2, 대동문화연구), 1973.
『益齋集』, 민족문화추진회, 1979.
崔瀣, 『拙藁千百』, 한국문집총간 3, 민족문화추진회,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