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3. Material and Method
4. Procedure
본문내용
우리 몸의 해마는 장/단기 기억에 있어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서 이 관의 기능 저하는 곧 기억과 연계된 인지학습능력의 저하를 의미한다. Alcohol은 그 농도에 따라 이러한 해마의 기능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약물로서 알코올의 섭취는 인지학습능력에 막대한 영향을 주게 된다. 이때, 숙취 해소 음료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가에대한 의문이 실험의 시작이다. 실험은 Rat 3 마리 각각의 인지학습능력을 측정한 후, 한마리에게는 여명808(숙취해소음료)을, 또 다른 한마리에게는 컨디션(숙취해소음료)을, 나머지 한마리는 대조군으로서 물을 먹인뒤 각각 동일한 량의 alcohol을 투입하였다.
이후 실시한 Morris의 수중 미로 실험 결과 숙취해소음료 투여한 rat의 경우 180%의 인지학습능력저하를, 대조군의 경우 420%의 인지학습능력저하를 보이는 등, 숙취해소음료를 투여한 쥐는 대조군에 비하여 괄목만한 운동 수행 능력과 인지학습능력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1. Introduction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단기기억에는 해마의 NMDA receptor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알코올은 이 NMDA receptor 에 inhibitor 로 작용함으로써 학습능력의 저해를 초래한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숙취해소음료들은 각기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은 술이 미치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막아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숙취해소음료들 중 컨디션 파워, 여명 808 두 가지를 사용하여 학습 상황에서 알코올을 섭취한 경우와 숙취해소음료를 미리 섭취한 후 알코올을 섭취한 경우를 비교하여 알코올이 공간 인지학습 능력에 미치는 악영향을 보고, 그에 대한 숙취해소 음료의 완화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는 실험이다. 공간 인지학습능력의 평가는 수중미로장치(Morris water maze)를 이용하였다. 수중미로장치는 아래 그림과 같이 속이 보이지 않는 물 속에 숨겨진 platform을 장치하여, 쥐가 이 platform을 찾아 올라서는 순간까지 헤엄치는 양상과 시간으로 학습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다.
참고자료
· 1) 숙취해소 관련 기능성평가체계 구축 / 식품의약품안전청, 2003
· 2) FUNCTIONAL INTERACTIONS OF ALCOHOL-SENSITIVE SITES IN THE NMDA RECEPTOR M3 AND M4 DOMAINS / Hong Ren Franks, N. P. and Lieb, W. R. (1994) Nature 367, 607-61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