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바이러스는 다른 병원체와 달리 능동적으로 식물체에 침입해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이 없다. 그래서 식물바이러스는 간접적인 방법으로만 식물세포 내부로 들어간다. 이러한 침입의 주요한 경로는 기본적으로 식물세포벽의 상처를 통한 침입으로 곤충의 흡즙 등에 의해 생긴 상처나 물리적인 상처 등이다. 대개의 식물바이러스는 종자 등 번식체를 통한 전염, 토양전염, 곤충에 의한 전염, 접촉에 의한 전염, 곰팡이나 기생식물 등을 통한 전염 등을 하게 되는데 한 종의 바이러스가 여러 가지 전염방법에 의해 전염되는 경우도 많다. 여기서는 곤충에 의한 전염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보겠다. 충매전염은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가장 일반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매우 많은 종의 바이러스가 곤충이나 응애 등의 절지동물에 의해 전염된다. 표 1에 식물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절지동물군이 나타나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바이러스 매개충은 진딧물로 200여 종의 진딧물이 160여 종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는데 이 중 대표적인 매개충으로는 복숭아혹진딧물로 113종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며 대표적인 바이러스는 CMV로 81종의 진딧물에 의해 전염된다. 감자바이러스 Y (PVY), CMV, SMV, 콩왜화바이러스 (SDV),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TuMV), LMV, AMV, BCMV 등이 주로 진딧물에 의해 전염된다.
진딧물 외에 국내에서 중요한 바이러스 전염 매개충으로는 애멸구와 끝동매미충이 있는데 이들은 벼의 주요한 바이러스를 전파한다. 애멸구는 벼줄무늬잎마름병 (RSV)의 매개충이 되며 영속전염과 경란전염을 한다는 점에서 매우 특징적이며 중요한 매개충이다.
RSV를 흡즙한 애멸구의 체내에는 바이러스가 영속적으로 존재하게 되며 이 바이러스는 알을 통해 다음 세대의 애멸구에까지 유지가 되는 경란전염을 하므로 매개충으로 매우 중요하다.
참고자료
· http://www.knrda.go.kr/ares/tech/N01/N010400_01.htm
· 고영진 외. 1998. 바이러스에 의한 식물병. 식물병리학.
· 최장경 외. 1993. 식물바이러스의 전염. 식물바이러스학 개론.
· 황병국 외. 2000. 식물병원 바이러스. 식물의학.
· Agarwal, V. K. et al. 1987. Seedborne Pathogens. In Principle of Seed Pathology. Boca Raton, CRC Press.
· Mink, G. I. 1993. Pollen and seed transmitted viruses and viroids. Annu. Rev. Phytopathol. 31 : 375-402.
·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masterno=143478&contentno=143478
·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i=109513
·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B&i=109516&v=42
·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masterno=60506&contentno=60506
·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i=189177
· http://tree.kfri.go.kr/treehospital/medical/InsectDetail_read.asp?num1=11&num2=04&num3=2286&page=2&skind=1&skword=&insect=4
· http://old-wjatc.wonju.go.kr/cd/main/%EB%86%8D%EC%97%85%EA%B8%B0%EC%88%A0%EC%A0%95%EB%B3%B4%EC%B4%9D%EB%AA%A8%EC%9D%8C/data/%ED%99%94%ED%9B%BC/%EA%B5%AD%ED%99%94/%ED%95%B4%EC%B6%A9/E010703.htm
· http://ko.wikipedia.org/wiki/%EC%9D%91%EC%95%A0
· http://www.namu119.co.kr/mo/mo-ps.htm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