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론]
I. 존 위클리프(JOHN WYCLIFFE :약 1325 ~ 1384)
II.존 후 스(John Huss 1369 - 1415)
<참 고 도 서>
본문내용
[들어가는 글]
14,15세기에 벌어졌던 교회의 비극적 모습으로 말미암아 이의 개혁을 시도하는 여러 가지 움직임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들 가운데 하나였던 종교회의 운동(The conciliar movement)은 분열을 종식시키는 동시에 성직 매매 및 족벌주의와 같은 부패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물론 이종교회의 운동은 그 때까지 교회가 받아 들였던 기독교 교리에 관해서는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그러나 존 위클리프(John Wycliffe)와 존 후스(John Huss)같은 이들은 교회생활 뿐만이 아니라 교화가 지켜온 교리자체의 개혁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또 어떤 자들은 가난하고 짓밟힌 자들에게서 특히 성행하였던 종말론적 기대감에 부응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다양했던 개혁운동을 본 논고에서 다루기로 한다. 그런데 문제를 보다 명확하게 취급하기 위하여 연대적 순서에 따르지 않고, 대분열의 해결을 위한 유럽의 모습 속에서 종교회의 운동의 전성기 이전을 살았던 영국의 존 위클리프와 체코의 존 후스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영향에 대하여 이를 중점하여 본고는 논술하고자 한다.
[본 론]
I. 존 위클리프(JOHN WYCLIFFE :약 1325 ~ 1384)
교회의 개혁을 위하여 강력하게 주장한 인물들과 운동단체와 또한 감화를 끼친 이들이 많지만, 그 중에서도 르네쌍스 시대에 있어서 가장 저명한 3사람(위클리프,후스,제롬 사보나롤라)을 흔히 “개혁전의 개혁자들”이라고 불리운다. 그 중의 하나거 존 위클리프이다. 역사가들은 그를 “복음적 박사”“개혁의 샛별”이라고 부른다. .
이러한 위클리프는 삭손의 혈통 타고난 사람으로 1320년 쯤 영국의 욕사이어주 위클리프라는 마을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후에 “옥스포드의 스콜라파 학자 중에서도 뛰어난 지위를 차지하고 이었으며,애국자이었으며,신학적으로나 실제에 있어서 개혁운동의 권위자이며 또한 성경을 영어로 번역한 사람”이 되었다.
참고자료
· 세계기독교회사. 윌리스턴 워커 저, 대한기독교서회, 1975.
· 현대인을 위한 교회사. 브루스 셸리 저, 박의석 역. 크리스찬 다이제 스트. 1993.
· 서양기독사 . 얼.E.케인즈, 김기달 역. 보이스사 1990.
· 진리로 산 사람들. 데이비드 o. 훌러, 권명달 역. 보이스사 1978.
· 중세교회사. 윌리엄 R.케논,서영일 역. 기독교문서선교회. 1991.
· 인물중심의 교회사. E.S.모이어. 곽안전,심재원 공역. 대한기독교서 회.1986.
· 기독교사(中). 케니스 래토레트 저. 윤두혁 역. 생명의 말씀사. 1980.
· 교회사. 송낙원 저. 이건사. 1985.
· 중세교회사. 유스토 L.곤잘레스 저. 서영일 역. 은성 1987.
· 세계인물기독교사. 임영천 저. 풀빛목회. 1985.
· 기독교대백과사전. 기독교문사.198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