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낭콩 재배 일지
- 최초 등록일
- 2009.09.10
- 최종 저작일
- 2009.07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강낭콩을 심는 과정에서 부터 콩깍지가 생기는 모습까지
자세하게 관찰한 보고서입니다.
목차
1. 관찰주제
2. 강낭콩 관련 지식
3. 준비물
4. 관찰 과정
5. 반성 및 고찰
본문내용
1. 관찰 주제
- 강낭콩을 키우며 관찰하는 과정을 통해 강낭콩의 구조 및 강낭콩의 한 살이를 알아본다.
2. 강낭콩 관련 지식
(1) 강낭콩의 정의
- 학명 : Phaseolus vulgaris
장미목 콩과 한해살이풀. 덩굴강낭콩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채두(菜豆), 운두(雲豆)라 고도 한다.
(2) 원산지 및 전래
- 원산지는 멕시코 중앙부에서 과테말라, 온두라스 일대이다. BC 5세기부터 아메리카 대 륙의 원주민이 재배하였고 중앙·남아메리카로 보급되었다. 유럽에는 아메리카 대륙 발 견 이후 에스파냐 사람에 의해 전파되었다고 한다.
- 한국에는 중국 남쪽 지방에서 들어왔다고 하며, 일제강점기에 일본에서 여러 품종을 도 입하여 식용으로 재배하였다.
(3) 재배환경
- 온도에 대한 적응성은 품종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온난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추위에 약하다. 기온이 l0℃ 이상, 토양 온도 9℃ 이상이 아니면 정상적인 생육을 하지 못한다. 개화기에 온도가 높으면 꽃이 떨어지고, 고온, 건조시에는 콩알이 굵어지지 않는다. 결 실기에 비가 자주 오고 다습하면 썩기 쉬우며, 수확 직전에는 꼬투리에서 싹이 터 수량 과 품질이 떨어진다.
(4) 재배 및 병충해
- 서리의 염려가 없어지면 왜성형 콩은 이랑 사이 60m, 포기 사이 30cm로, 덩굴콩은 이 랑 사이 60∼75cm, 포기 사이 45cm 내외로 심는다. 본래 콩과작물에는 뿌리혹박테리 아가 생기므로 비료를 적게 주어도 되나, 강낭콩은 콩과작물 중 가장 비료를 많이 요구 한다. 특히 인산 거름의 효과가 크며, 초기에 주는 것이 좋다.
- 강낭콩은 세계적으로 콩류 중에서 재배 면적이 가장 넓으며, 주요 생산국은 인도, 중국,브라질 등이다. 주요 병충해로는 탄저병, 녹병[銹病], 세균성 점무늬병, 모자이크 바이러스 등의 병과 진딧물, 바구미 등의 해충이 있으나, 충해는 쉽게 방제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