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요(민요)의 개관, 한국민요(민요)의 정의, 한국민요(민요)의 분류, 한국민요(민요)의 호흡법과 창법, 한국민요(민요)의 계승과 변용, 한국민요(민요)의 생존과 멸종 분석(한국민요, 민요, 우리민요)
- 최초 등록일
- 2009.09.08
- 최종 저작일
- 2009.09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한국민요(민요)의 개관, 한국민요(민요)의 정의, 한국민요(민요)의 분류, 한국민요(민요)의 호흡법과 창법, 한국민요(민요)의 계승과 변용, 한국민요(민요)의 생존과 멸종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한국민요(민요)의 개관
1. 민요의 개념
2. 민요의 분류
3. 민요의 형태
1) 가창방식
2) 운율
4. 민요의 내용
1) 노동요
2) 의식요
3) 유희요
Ⅲ. 한국민요(민요)의 정의
Ⅳ. 한국민요(민요)의 분류
1. 변천 과정에 따른 분류
1) 전통민요
2) 근대요
3) 창작민요
2. 민요의 목적과 기능에 따른 분류
1) 노동요
2) 의식요
3) 유희요
4) 정치요
Ⅴ. 한국민요(민요)의 호흡법과 창법
Ⅵ. 한국민요(민요)의 계승과 변용
1. 생산축의 변이
2. 사회적 상황과 연행 현장
1) 일소리
2) 놀이소리
3) 의식소리
4) 비기능요
3. 전파와 전승
Ⅶ. 한국민요(민요)의 생존과 멸종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멸되어가는 전통민요사회의 현실 속에서도 올곧게 한국의 전통민요를 지켜가는 민요공동체가 활동하고 있다. 민요공동체의 존재는 한국 서남해에서 뿐만 아니라 일본 오키나와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 여기서는 진도군 지산면 소포 노래방의 사례로 설명하겠다. 글쓴이의 조사에 의하면 향촌사회에는 일반적으로 노래를 익히는 학습조직이 어떤 형태로든 있었다. 노동과 문화가 특별히 분리되지 않았던 전통사회에서는 두레, 소동패, 상두계, 물레방 등의 노동조직이 그런 역할을 담당했고, 노래가 융성한 마을에는 노래만을 학습하는 조직이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근대화 이후 개발전략으로 마을에서 민요를 학습하여 일상생활에서 부르고 즐기며 전승하던 민요공동체도 해체된 문화유산이 되었다. 서남해 도서연안지역에는 민요공동체의 존재가 확연히 확인되고 있다. 과거의 활동을 증언하는 구술을 통해서도 확인되고, 또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민요공동체가 존재한다. 신안군 장산면 공수리, 진도군 지산면 소포의 노래방이 그것이다. 노래방이란 명칭은 남해안 일대에서도 발견되는바 고흥군 금산도 신촌에서도 확인한 바 있다. 이 명칭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인지는 명료하지 않지만 판소리를 공부하는 소리방과 어울려 전통사회에서는 매우 일반적으로 운영되었던 것은 틀림없다. 진도군 지산면 남동리에서는 방이라는 공간개념보다는 주민조직의 개념으로서 당당패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당당패의 경우는 구성원들이 자식들을 따라 객지로 나가자 해체되고 지금은 그 구성원의 일부만 남아 있어 기능을 올곧게 수행하지 못한 형편이다. 살아 기능하는 민요공동체로서 사례가 되는 대상은 소포 노래방이다. 소포 노래방은 서남해 도서연안지역뿐만 아니라 한국의 민요사회에서 유일하게 자생적으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
참고 자료
김헌선, 한국구전민요의 세계, 지식산업사, 1996
류종목, 한국 민요의 현상과 본질, 민속원, 1998
박경수, 한국 민요의 유형과 성격, 국학자료원, 1998
서영숙, 우리민요의 세계, 서울:역락, 2002
임동권, 한국민요집, 집문당, 1961
임동권, 한국민요연구, 이우, 1980
정동화, 한국민요의 사적 연구, 일조각,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