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의 파도에 의한 변화가 일어나기 이전, 인류의 태반은 작은 그룹으로 나뉘어 각지를 방랑하며 생활하고, 채집, 어로, 수렵, 목축으로 먹을 것을 얻고 있었다. 그것이 어느 시점, 대략 1만년 전에 농업혁명이 일어나고 지구상에 서서히 고을, 취락, 경작지가 확대되고, 새로운 생활양식이 번져 갔다.
제1의 파도의 문명이 번성한 수천년의 기간 동안 지구에 사는 인간은 두 개의 범주, 즉 미개인과 문명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인구가 적은 집단이나 부족단위로 채집, 수렵, 어로에 의해 생활해 갔다는 이른바 미개민족은 농업혁명의 영향이 미치지 못한 상태에서 생을 계속해 온 사람들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문명 세계는 ...농업을 한 지역이다.
산업혁명은 농업문명의 세계에서 시작되어 제2의 파도를 일으켜서 그 때까지의 문명과는 대조적인 문명을 창조하였다. 산업주의란 단지 굴뚝과 일관작업 이상을 의미했다. 그것은 다방면에 걸친 강력한 사회체제였고 인간생활의 모든 면에 도전하여 갔던 것이다.
폭력적인 해결
제 2의 파도가 여러 형태의 사회에 밀려듦에 따라서 과거의 농업사회를 지키려는 사람들과 미래의 산업사회의 빨치산(Partisan)이라고도 할 수 있는 사람들 사이에 피투성이의 긴 전쟁이 시작되었다. 제 1의 파도와 제 2의 파도는 정면충돌을 일으켜 양자가 충돌하는 동안에 있었던 구시대인들은 밀려나거나, 가끔 대규모의 살륙의 대상이 되었다.
미국에서의 이 충돌은 제 1의 파도의 농업문명을 확립하려는 유럽인의 이주한 것으로부터 비롯된다. 백인에 의하면 농업문명의 조류는 물밀 듯이 서쪽으로 서쪽으로 밀려가서, 인디안을 쫒아버리고 머리 태평양 연안까지 속속 농장과 농촌을 건설하여 갔다.
그러나 농민의 바로 뒤를 이어서 장래에 제 2의 파도 시대의 중개인(agent)이 될 초기 산업인들이 왔다. 뉴 잉글랜드와 대서양 연안 중부의 여러 주에서는 공장과 도시가 급격히 나타나게 되었다. 19세기 중반까지 동북부는 공업지대로서 급속한 발전을 계속하고 총기(銃器), 시계, 농기구, 섬유제품, 재봉틀 등 많은 상품을 마들어 냈다.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아직 농업의 세력이 지배적이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