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rucible 작품의 이해
- 최초 등록일
- 2009.08.20
- 최종 저작일
- 2006.11
- 17페이지/ MS 워드
- 가격 2,500원
소개글
영어학과 4학년 졸업을 앞두고 졸업 논문 주제를 선택하다 우연히 아서밀러의 소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 중 the crucible 에 대한 논문을 쓰면서 집단적 광기가 현대사회에서 얼마나 비일비재하게 일어나는지 다시한번 느끼게 된 아주 훌륭한 소설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Arthur Miller와 그의 극작관
2. The Crucible : 낙관적 비극성
3. The Crucible을 통해 본 마녀사냥의 집단적 광기
4. John Proctor의 죽음을 통해 나타내려는 비극적 승리
III. 결론
IV. 참고 문헌
본문내용
현대 사회에서 과연 비극이 존재할 수 있느냐는 문제에 대하여 소수의 비평가들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그 중에서 Joseph Wood Krutch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이론을 원용하여 “Tragedies cannot be written in modern era because we have ceased to believe that any human action is serious or noble” 라고 주장함으로써 현대 비극의 가능성을 부정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이론은 오랜 세월을 두고 비극의 발전에 기여하고 영향을 끼쳐 왔음은 사실이나 현대에서는 시대적인 한계점을 보인다. 그러나 Tennessee Williams, Arthur Miller와 같은 미국의 극작가들은 현대적인 비극을 창작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여왔으며 많은 비평가들에 의해 이들의 노력이 성공적인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Miller는 비극에 대한 논의에서 주인공의 파멸요인을 전통적인 개념인 주인공의 비극적인 결함과 Ibsen이 강조한 사회적인 요인으로 보고 거기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사회적인 요인이란 사회를 지배하는 보이지 않는 어떤 힘의 존재를 말한다. 또 Miller가 생각하는 비극적 결함이란 주인공이 자신의 존엄성이나 정당한 신분에 대한 도전에 직면했을 때 수동적으로 그냥 남아있기를 거부하는 의지의 작용을 의미한다. Miller가 주장하거나 Miller에 과한 연구논문에 밝혀진 Miller의 현대적 비극개념을 현대 비극의 특성과 의미가 구체적으로 나타나도록 정리하면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참고 자료
1. 윤 여복. “현대 비극의 개념”, 동아영어영문학 Vol.2, 1986.
2. 김 정수. “현대 비극으로서의 The Crucible연구”, 외대어문논집 Vol.4, 1988.
3. 황 순향. “The Crucible에 나타난 권력과 주체의 양상”, 신영어영문학13집, 2000.
4. 김 정수. “Arthur Miller의 작품세계”,
5. 오 현주. “Arthur Miller 사회극의 비극성”,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2001 학위논문(석사)
6. 윤 지은. “Arthur Miller의 The Crucible 연구 : 희곡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 분석”, 중앙대 대학원 2003 학위논문(석사)
7. 유 황. “The Crucible에 나타난 개인과 사회와의 갈등 : Proctor의 죽음과 자존의 회복”, 단국대 교육대학원 2001 학위논문(석사)
8. 김 우탁 외 공저. “영미극작가론”, 문학세계사.1987
9. 허 종. “아서 밀러의 사회극”, 한국학술정보. 2001
10. 이 홍우. “연극의 이해”, 월인,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