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MA는 아크릴수지(PMMA : Polymethly Methacrylate)의 약자이며 다음과같은 특성과 광범위한 범위에 사용된다.
□ 특성
⑴ 투명성이 뛰어나고 내후성도 양호하다.
⑵ 경도가 높고 표면광택이 우수하다.
⑶ 물, 염, 약산에 견디나 알칼리에 침해되고 유기용제에 용해된다.
⑷ 성형성이 양호하다.
⑸ 100℃에서 변형하는 경우가 있으며 내충격성도 약간 낮다.
⑹ 전기특성이 뛰어나다.
⑺ 주형성형이 가능하다.
□ 응용
(1) 조명관계 : 샹드리에, 전구블랑켓세트, 형광등 커버 등
(2) 광학관계 : 각종 창유리, 광통신, 파이버스코프
(3) 자동차관계 : 램프커버렌즈, 센터마크, 계기판
(5) 전기관계 : 스테레오커버, TV전면마스크
(6) 일용품관계 : 만년필, 샤프펜슬, 볼펜, 문구, 싱크대용품 등
(7) 의학관계 : 의치, 의안, 파이버 스코프
(8) 간판 : 기타 장식품, 피아노건반, 문틀, 손잡이
주접착제는 모노머를 용제로한 도프접착제를 이용한다.
□ 취급상 주의
케톤, 에스테르, 염화탄화수소 등 유기용제에 녹는다.
1.2. PMMA합성의 실험목적
개시제로 AIBN을 사용한 Solution polymerization으로 PMMA를 합성하여 그 결과에 따른 전환률과 결과물의 분자량을 GPC를 사용해 측정, 분석한다.
2. 이론적 배경
2.1. 벌크 중합
2.1.1. 실험 원리
Bulk중합은 고분자 합성공정 중 가장 단순하고 직접적인 방법이다. 단량체와 소량의 개시제, 그리고 경우에 따라 분자량 조절제만을 반응조에 투입하며,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단량체와 고분자만이 반응계의 구성요소가 된다. 이 점은 ulk중합의 최대 장점인 순수한 고분자의 생성을 보장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