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춤][탈춤 특성][탈춤 분류][춤][탈춤 공연방식][봉산탈춤][고성오광대탈춤][수영야류(탈춤)]탈춤의 역사, 탈춤의 특성, 탈춤의 분류, 탈춤의 춤, 탈춤의 공연방식, 봉산탈춤, 고성오광대탈춤, 수영야류(탈춤)
- 최초 등록일
- 2009.07.16
- 최종 저작일
- 2009.07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탈춤의 역사, 탈춤의 특성, 탈춤의 분류, 탈춤의 춤, 탈춤의 공연방식, 봉산탈춤, 고성오광대탈춤, 수영야류(탈춤) 심층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탈춤의 역사
Ⅲ. 탈춤의 특성
Ⅳ. 탈춤의 분류
Ⅴ. 탈춤의 춤
1. 제의적 기능으로서의 탈춤
2. 독자적인 마당춤으로서의 춤
3. 연극적 기능으로서의 춤
Ⅵ. 탈춤의 공연방식
1. 상연시기와 시간
2. 연희형태
3. 악기
4. 연희자
5. 탈
Ⅶ. 봉산탈춤
1. 봉산탈춤의 개요
2. 봉산탈춤의 특징
Ⅷ. 고성오광대탈춤
Ⅸ. 수영야류(탈춤)
1. 전편
2. 후편 : 탈놀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탈춤은 우리나라의 민속문화 속에서 체계적으로 발전되어 온 극양식이다. 모든 문화양식이 그러하듯 탈춤 역시 그것이 만들어진 시대상황들의 반영물이다. 탈춤의 형성기를 조선 후기로 추정한다면 탈춤에는 조선 후기의 제도, 문화의 여러 모습들이 담겨 있다. 조선 중기부터 시작된 신분질서의 붕괴는 조선 후기로 넘어오면서 더욱 깊어 갔다. 이런 신분질서의 붕괴가 탈춤의 양반마당에 잘 나타나 있다. 말뚝이의 공격에 맥을 못 추는 양반의 모습은 바로 당시의 신분질서가 무너지는 단적인 보기다. 이는 양반사회 안의 위계질서가 무너짐으로 해서 탈춤의 소재가 된 것이지만, 민중의식의 고양도 이런 내용이 채워지는 데 한몫을 하였다.
탈춤의 구경꾼인 민중은 이러한 계층 사이의 문제를 알고 있는 것이다. 춤꾼과 구경꾼이 함께 하는 상황은 탈춤의 현장성을 살린다. 살아 있는 현장성은 구경꾼의 비판적 시각을 필요로 하며, 구경꾼 스스로의 일상생활이나 사회체제에 관한 비판적 시각을 더욱 날카롭게 한다. 비판의식의 강화는 그 시대의 문제점을 없애고 참다운 사회를 이룩하는 데 한몫을 한다.
희극은 바로 이러한 비판의식이 모자랄 때는 생겨날 수 없는 갈래이다. 사회체제에 대한 불만이나 정치적 불만은 비판의식이 투철한 민중이 없을 때에는 풀리지 않는다. 웃음은 비판의식이 없을 때에는 생겨나지 않으며, 풍자는 사회를 바꾸는 기능을 맡는다. 풍자는 비판적 비교를 통해서 나타난다.
탈춤은 희극이다. 그러므로 탈춤에는 웃음이 있다. 계층 사이의 갈등을 두드러지게 나타내는 양반마당이나, 가족 사이의 윤리를 다루고 있는 할미영감마당도 웃음을 자아낸다. 할미영감마당은 내용상 비극의 색채를 띠고 있으나, 이 마당은 눈물을 뛰어넘어 웃음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비판적 현실의 비판적 초월`이야말로 조선 후기 민중들의 참모습이다.
탈춤의 기본적 성격 가운데 하나는 신명성이다. 춤꾼과 구경꾼이 함께 어우러지는 집단적 신명은 탈춤의 중요한 맛이다. 서구 연극의 구경꾼이 연극 공연에 일정한 거리를 두는 반면에, 탈춤의 구경꾼은 궁연 속에 들어가 있다. 탈춤에서 연희자와 구경꾼이 함께 하고 있으므로, 춤꾼과 구경꾼의 집단적 신명도 하나의 중요한 목표이다.
참고 자료
◉ 민속학술자료총서, 봉산탈춤1(2001), 놀이마당터
◉ 이강숙(2000), 봉산탈춤, 한국예술중합학교
◉ 이두현(1985), 한국의 탈춤, 일지사
◉ 오정희 외(2001), 탈춤종류 1-2, 놀이마당 터
◉ 조동일(1988),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 탈춤의 역사와 원리, 홍성사
◉ 채희완(1984), 탈춤의 사상, 현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