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락이란 무엇인가라는 의문은 한의학을 공부하는 학생은 아니지만 한번쯤 생각해 볼 문제인것 같다. 그 과정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저 경락이 인체에 존재할 것이라고 인정하게 된다. 물론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지만 말이다. 그러나 경락의 존재와 그 작용에 대해서 인정하든 안하든 간에 내경에서 논하고 있는 대다수의 생리, 병리 및 치료에 있어서 경락적인 이론은 상당수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즉, 경락이론은 한의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한의학이 많이 일반화된 이 시점에서도 경락이란 무엇이며 그것의 구체적인 현상은 인체의 생리, 병리 등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나타나는지 또는 비록 그것이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어떠한 모습으로 인체에 작용하는지에 대해 구체화시켜주는 속 시원한 대답은 거의 없는 듯 싶다. 말하는 사람마다 자기가 이해하는 경락의 모습이 다르고, 한의학의 여러 학파에서 논하는 경락의 실재도 서로들 다르고, 어떤 이는 아예 경락이 어디 있느냐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역시 본인도 경락이 무엇인지 모른다. 또한 더 심각한 것은 내가 말하고 있는 것이 맞는지 아니면 틀린지도 모른다. 그러나 한의학적 이론의 근간을 이루는 경락의 실재에 대해 처음부터 다시 의문을 제기하고 더 나아가 경락적 이론이 구체적 침구에 있어서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본론
1. 경락
그렇다면 과연 경락이란 무엇인가? 한의학에서는 사람은 몸 안에 혈기가 끊임없이 순환하고 빠짐없이 고루 퍼짐으로써 생명을 유지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여기에서 혈기는 ‘氣血’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기와 혈을 합한 말이다. 그러나 이 기와 혈은 서로 분리된 완전한 별개의 존재가 아니다. 섭취한 음식물이 소화되면 그 정수인 순수정미의 정기가 얻어진다. 그 기가 조화되고 변화되어 발갛게 된 것이 혈이다. 곧 혈과 기는 원래 하나이지만 그 나타나는 방법을 달리하며, 몸 안에서는 음양의 관계에 있으면서 서로 맞버티면서 작용하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