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TS의 정의 및 국내외 현황
- 첨단교통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 기대효과
- 추진전략
- 법 제도 마련
- 시범사업 추진
- 첨단교통모델도시 건설사업
- 최근사업추진현황
2. 교통신호 관리제어 서비스
3. 무선 교통안전 서비스
- 교통안전운영관리(신호운영단말기능)
- 교통안전정보처리(신호통신서버기능)
- 교통약자인식 및 신호 시간연장처리(신호제어기능)
4. 문제점
5. 의견
6. 출처
본문내용
1. ITS의 정의 및 국내외 현황
첨단교통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은 도로와 차량 등 기존 교통의 구성 요소에 첨단의 전자ㆍ정보ㆍ통신 기술을 적용시켜 교통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통행자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통행과 전체 교통 체계의 효율성을 기하도록 하는 교통 부문의 정보화 사업이다. 즉, 도로와 차량 등 하드웨어 중심의 기반시설에 통신, 전자, 제어, 컴퓨팅기술 등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차량 및 기본 교통시설이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여 안전하고, 쾌적하고, 효율적인 교통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교통 네트워크와 정보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합시스템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 제 5 회 ITS 세계대회를 개최한 것을 계기로 ITS 관련 사업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ITS Korea 라는 단체를 결성하였으며, 현재 국가 기본계획에 따라 각종 서비스 시스템의 개발 및 시험운행을 진행하고 있으며, 시스템간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고, 장래의 중복개발 및 예산투입 등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ITS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ITS 표준화가 추진 중이다.
대전시ㆍ전주시ㆍ제주시 등 3개 도시를 ‘첨단교통 모델 시범 도시’로 지정해 첨단교통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자동요금징수시스템(ETCS)을 위해 통신표준(적외선 방식)을 국가표준으로 정하여 전국적인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정부 주도로 도로교통정보시스템인 VICS(Vehicl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ystem)를 개시하여 무료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유럽과의 공조를 통해 ITS 표준화를 추진 중이다. 특히 ETCS 및 첨단 차량 기술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가장 빠른 차내 정보시스템 시장이 형성되었으며 멀티미디어와의 연계를 통해 자동운전을 일상화하여 첨단교통시스템을 도로 및 다른 교통수단과 관계된 기본 시스템으로 일상화를 꾀하고 있다.
참고자료
· ITS KOREA http://www.itskorea.or.kr/
· 대전광역시 첨단교통도시 http://traffic.metro.daejeon.kr/index.jsp
· 제주 첨단교통정보시스템 http://www.jejuits.go.kr/index.html
· 전주시 첨단교통정보서비스 http://www.jeonjuits.go.kr/
· 사이버연구소 http://cafe.naver.com/cyberinstitute
· 개인 블로그 http://blog.naver.com/aosjchl/20069921928
· YTN뉴스 http://www.ytn.co.kr/_ln/0103_20081013171734359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