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관여도의 개관
1.1 관여도에 대한 개념
관여도(involvement)란 ‘특정 상황에서 자극에 의해 유발되어 지각된 개인적인 중요성이나 관심도의 정도’을 말한다. 관여도가 높을 때 소비자는 제품의 사용을 통해 혜택을 극대화하고 위험을 극소화할 의도를 가지고 행동한다.
관여수준은 주관적이고 상대적이며 상황적이다.
1.2 관여도와 수단-목적사슬
어떤 제품에 대해 소비자가 갖고 있은 지식의 구조를 속성-결과-가치의 3단계 틀로 보는 것이 수단-목적사슬이다.
소비자는 제품의 구체적인 속성들을 자신의 목적(이익/위험 등 결과, 가치)을 위한 수단으로 여기기 때문에,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결과나 가치에 입각하여, 제품과 상표의 속성을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어떤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단-목적사슬을 분석해보면, 그 제품과 상표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나 관여도를 파악할 수 있다.
수단-목적사슬은 다양한 형태를 띠며, 모든 수단-목적사슬이 반드시 6단계 모두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수단-목적사슬을 측정하는 데는 일대일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이 많이 사용된다.
제품과 상표에 대한 소비자의 관여도를 분석하는 유요한 수단이다. 소비자의 제품관여도는 제품지식 수준과 자기지식 수준의 연결강도 및 가치의 중요성에 의해 결정된다.
관여도와 수단-목적사슬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의 목표나 가치에 연결시킴으로써 소비자의 관여도를 증가시키는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1)광고전략에의 활용-MECCAS모델
수단-목적사슬은 제품이나 상표가 소비자의 중요한 심리적 결과나 가치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신제품개발이나 광고전략의 수립에 활용되고 있다.
포지셔닝이론은 과거의 마케팅 전략이 주로 경쟁사 중심적인 관점에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었다면, 수단-목적사슬 이론은 소비자의 시각에서 전략을 수립하는 소비자지향적 전략수립이라는 점이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수단-목적사슬은 현재 고객뿐 아니라 잠재고객에 대해서도 적용하여 고객의 밖으로 드러난 욕구와 더불어 숨겨진 욕구까지도 파악할 수 있게 하여 광고전략 수립의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