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신화와 김시습의 사상
- 최초 등록일
- 2009.06.25
- 최종 저작일
- 2008.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Ⅰ. 서론
Ⅱ. 본론
1. 전기소설과《금오신화》
2. 김시습의 생애와《금오신화》창작배경
3. 《금오신화》와《전등신화》의 작품
3.1 만복사저포기와 승목취유취경원기
3.2 취유부벽정기와 감호야범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전기소설과《금오신화》
2. 김시습의 생애와《금오신화》창작배경
3. 《금오신화》와《전등신화》의 작품
3.1 만복사저포기와 승목취유취경원기
3.2 취유부벽정기와 감호야범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김시습(1435-1493)의 《금오신화》는 한국 문학사, 그중 소설사의 발달과정에서 살펴볼 때, 조신설화를 거쳐 국선생전에 이르기까지 소설의 형식적 단계에 접근하였으며, 우리가 다루려는 《금오신화》에 이르러서는 소설이라는 문학양식을 확립시켰다. 소설이라는 갈래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작품이 아닐 수 없다. 이렇게 중요시되는 작품인《금오신화》는 여러 가지 방향에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작자의 삶과 그의 사상, 작품세계, 그리고 중국 전기인 전등신화와의 영향 수용 관계 등을 밝혀내는 연구이다. 이 외에도 작품 자체 내면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초기소설사 위의 전기소설에 대한 연구도 진행됐다.
우리 고전문학에 있어서 상당한 발전이 있었던 중국 문학의 영향은 적지 않았다. 두 나라의 지리적 위치도 그럴 것이고 발전된 문화수용도 있었을 것이다. 두 나라의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규명되지 않은 바, 작품을 통한 한․중소설의 비교가 계속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작가의 생애와 사상, 《금오신화》작품의 수록된 작품들을 통해 최초의 소설장르로써의 창작성과 문학성을 찾아보고, 또 애정전기로써의 면모를 비교하며, 모방과 창작의 선을 경계로 하여《전등신화》와의 영향과 수용 관계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전기소설과 《금오신화》
전기소설(傳奇小說)은 신화, 전설, 설화 등에서 소설로 발전해간 시기에 형성된 최초의 소설양식으로, 과도기적인 문학형태라고 할 수 있다. 전기소설은 등장 이후 한국의 고전소설사 발전의 밑거름이 되었다. 전기란 한자 그대로 ‘기이한 것을 전한다’는 뜻으로, 현실성이 없고 판타지적 성격이 가미된 진기한 이야기를 말하는 것이다. 일상과 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허구적인 내용을 전시적 요소라고 하는데 이를 가지고 이야기를 구성한 소설이 전기소설이다. 전기소설에서는 현실세계와 초현실세계가 이렇다 할 구분 없이 상통되는데, 이를 전기적 구조라고 한다. 이런 ‘허구적’인 요소가 근대까지 오고 있는 소설적 기초라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강소영. 전기소설에 나타난 揷入 시사의 기능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박일용. 〈취유부벽정기〉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등목취유취경원기〉․〈감호야범기〉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
전성운. 『금오신화』의 창작 방식과 의도
-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
박일용.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에 나타난 애정 모티프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전혜경. 〈금오신화〉의 한국문학사적 위상
-한․중․월 전기소설의 비교적 관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