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고등 국어 교과서 문제점 분석
- 최초 등록일
- 2009.06.23
- 최종 저작일
- 2008.0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7차 고등 국어 교과서 문제점 분석
선택단원: 8. 언어와 세계 (1) 동국신속삼강행실도
(단원의 마무리, 보충학습, 심화학습 포함)
문자, 배열, 그림, 내용까지 상세히 분석했습니다. 확실하고 알찬 내용입니다.
목차
Ⅰ. 개관
1.단원의 개관
2. 관련 교육과정 내용
3. 전 학년과의 관련성
4. 단원의 학습목표
5. 소단원 개관
Ⅱ. 교과서 분석
1. 준비학습 분석 및 문제점, 대안 제시 (314쪽)
2. ‘읽기 전에’ 의 분석 및 문제점, 대안 제시(316,317쪽)
3. 본문 분석 및 문제점, 대안 제시(318~323쪽)
4. 학습활동 분석 및 문제점, 대안 제시(323쪽)
5. 단원의 마무리- 점검하기 분석 및 문제점, 대안 제시(337쪽)
6. 보충학습 분석 및 문제점, 대안 제시 (339쪽)
마치며
본문내용
Ⅰ. 개관 교사용 지도서를 참고하였음.
1.단원의 개관
이 단원은 학생들이 언어와 사고·사회·문화와의 관계를 통해 언어를 깊이 이해하여 인간과 언어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고, 문학작품을 통해 사회·문화적 상황을 파악하여 작품을 제대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회적 교화를 위해 간행된 옛글을 통해 언어와 주변 세계-인간의 사고방식과 사회·문화적적 상황-의 상호작용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문학 작품을 통해 작가가 표현한 특정 시대의 삶의 모습에서 당대의 사회·문화적 상황을 파악하고 그것을 작가의 창작 동기와 관련지어 작품 수용에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관련 교육과정 내용
[10-문-(5)] 작품에 드러난 사회․문화적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작품 수용에 능동적으로 활 용한다.
[10-국지-(1)] 언어와 주변 세계의 관계를 안다.
3. 전 학년과의 관련성
이 단원은 ‘[8-국지-1] 언어의 사회성을 안다.’, ‘[8-국지-2] 언어의 역사성을 안다’와 ‘[7-문-7] 작품의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상황에 나타난 그 시대의 가치를 이해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8-문-1]작품은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상황을 바탕으로 창조된 세계임을 안다.’, 등과 관련되어 있다.
4. 단원의 학습목표
1) 언어와 사고, 문화, 사회의 관계를 안다.
언어는 기본적인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용되는 데에서 머물지 않고 언어를 사용하는 개인과 개인이 사회적 관계를 맺게 한다. 또 한 시대의 언어는 그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여 문화를 창조하고 축적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언어를 통해 인간은 사회적 관계를 맺고 문화를 이해하고 창조할 수 있다. 이는 언어가 인간의 삶 및 세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언어를 단순한 기호 차원에서가 아닌 사회·문화적 요소와의 관계 속에서 학습하면서 언어와 사고, 문화, 사회의 관계를 아는 것이 그 목표가 된다.
2) 문학 작품에 드러난 사회·문화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은 한 개인의 창작물이지만 그 개인이 작품을 창작하게 되는 동기는 자신이 몸담고 있는 사회·문화적 현실에 기인한 것이며 작품의 내용 또한 사회·문화적 상황을 반영한다. 특히 소설의 경우 특정한 시대를 살아가는 구체적 개인의 모습을 통해 작가의 의도를 전달하게 되므로 다른 어느 장르보다 작품의 사회·문화적 상황을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