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스트레칭의 목적
1) 스포츠 상해 예방
2) 유연성 강화
3) 스트레스 해소
4) 다이어트 효과
4. 올바른 스트레칭의 방법
1) 스트레칭의 6가지 원칙
2) 스트레칭의 유의사항
3) 올바른 스트레칭 방법
4) 스트레칭의 효과를 높이는 방법
5. 유연성 강화
본문내용
1. 스트레칭이란?
스트레칭은 유연체조의 한 종류이다. 일반적으로 ‘유연체조’라고 하면 ‘하나, 둘, 셋’이라고 구령을 부쳐 반동을 이용하는 것과 보조자가 힘차게 밀고 당기는 것이 많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유연성이 크게 향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리를 하게 됨으로써 근육과 관절구성체(인대 등)에 상해를 입히는 겨우도 많다.
이러한 것을 시정하기 위해 반동을 이용하거나 아픔을 참아가면서 행하는 것이 아니라 ‘근육을 천천히 늘여가며 그 상태를 유지한다.’라는 근육을 신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유연운동인 ‘static stretching`이 실시되고 있다. 이것은 종래의 반동을 붙여 행하는 ’ballistic 혹은 dynamic stretching`과는 구별된다.
한편 여러 연구에 의하면, 스트레칭은 단순히 유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근육과 정신이 받은 스트레스를 없앨 수 있다. 즉, 스트레칭의 제 1목적은 여러 근육과 관절의 상해예방이고, 유연성 향상은 제 2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2. 유연성이란?
스트레칭의 중요한 요소인 유연성이란 무엇일까? 유연성이라는 것은 ‘어떤 관절의 운동 가능 범위’ 즉 관절가동역(range of motion : ROM)의 크기인데, ROM이 크다는 것이 유연성이 큰 것을 말한다.
근력을 100% 발휘하기 위해서는 힘을 넓은 범위에 걸쳐 작용시킬 필요가 있고 맨손체조와 같이 유연성을 경쟁하는 스포츠, 럭비 등과 같이 부딪치는 스포츠와 유도 등의 격투기에서는 유연성이 관절상해를 막기 위해 중요하다. 유연성은 스태미너, 스피드, 근력, 기술과 함께 ‘스포츠의 Five-S`라고 하여 스포츠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또 일반인들도 일어서 때에 경부, 허리, 등 부위 근 군의 유연성이 부족하면 요통, 어깨 결림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단순히 관절을 유연하게 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는데 그 이유는 전신의 모든 관절을 유연하게 한 것으로는 충분한 근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운동종목에 따라 많이 사용되는 관절의 움직임이 다르므로 각 운동종목에 대응한 스트레칭이 필요한 것이다.
참고자료
· 1. 오피스 스트레칭 10분, 밥 엔더슨, 넥서스BOOKS
· 2. 스트레칭 다이어트 30일 혁명, 임옥현, 건강다이제스트사
· 3. 파워스트레칭, 허일웅&심주희, 삼호미디어
· 4. 밸런스 스트레칭, 박성순&추건이&손진수, 대경북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