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 이이의 인성교육론의 가치 교육적 측면에서의 함의
- 최초 등록일
- 2009.06.19
- 최종 저작일
- 2009.04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소개글
교육철학 및 교육사 과목에서 율곡이이의 인성론적 측면을 논문을 분석
교육적 측면에서 요약 정리 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율곡이이의 생과 삶에 대한 인간상
(2) 율곡의 인성론 및 인성교육사상
① 이기론적 교육사상
② 인성론적 교육사상
③ 인성론의 교육적 함의
3. 결 론
4. 느낀 점
본문내용
1. 서 론
이이(李珥, 1536-1584)는 본관 덕수(德水), 자 숙헌(叔獻), 호 율곡(栗谷)·석담(石潭), 시호 문성(文成), 강원도 강릉 출생이다. 사헌부 감찰을 지낸 원수(元秀)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사임당 신 씨이다.
율곡의 어머니 사임당(師任堂)은 태교(胎敎), 양육(養育), 교육(敎育) 등 삼육(三育)의 결과로 가장 바람직한 인간적 바탕과 실력을 발휘하여 어릴 때부터 실력이 출중하였고 우뚝한 인물로 성장시켜 뚜렷한 발자취를 남기게 하였다. 첫 출발부터 남달라서 대통하고 대망의 길이 활짝 열렸던 그도 16세 때 사임당이 별세하면서 큰 스승과 어머니를 동시에 잃게 되었다.
그리하여 금강산에 입산하여 철학적 욕구를 탐색해 보았으나 불교는 윤리성과 현실성이 약하다고 판단하고 하산하여 각심하고 ‘자경문(自警文)’을 지어 확고한 입지(立志)와 맹세도 하고 퇴계선생을 배방(拜訪)하고 지혜를 얻기도 하여 자신의 목표설정을 확고히 하였다.
율곡은 어려운 여건에서도 노력하여 ‘구도장원(九度壯元)’이란 결실을 얻기도 하였으며 그의 학구열은 시대의 학문인 이기론(利己論)과 심성론(心性論)을 비롯한 성리학(性理學)을 높은 경지까지 올려놓았고, 국정에 참여하여 그의 학문으로 이상국가의 실현을 위하여 특유의 경세철학(經世哲學)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국정(國政)에 크게 기여한다. 그러나 대립된 정파(政派)의 국민의식 때문에 바람직한 국정운영이 어렵고 더구나 철인적(哲人的) 이상국가 실현은 매우 어렵다는 판단을 하게 된다.
그리하여 율곡은 교육을 통한 구국(救國)의 길과 문명국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그의 효철학(孝哲學)에 바탕 하여 문화철학(文化哲學)의 제시는 안정된 가정문화와 밝은 사회, 튼튼한 국가의 초석, 그리고 나아가서는 인류평화사상을 제시 하였다.
조선 중기에 율곡이 생존하였던 16세기는 무오사화(1498)를 시작으로 하여 갑자사화(1504), 기묘사화(1519), 을사사화(1525) 등 계속된 사화(士禍)들로 인하여 많은 신진 사림들이 몰락되어 정치가 문란하고 인륜의 도덕이 무너지던 시기이다. 오늘날과 같이 교육이 본령을 잃고 국민의 의식이 크게 문제가 있고 퇴락하는 사회풍토를 바로 세우는 데는 오직 도덕교육과 문화의 힘이 아니고서는 안 된다는 그의 판단은 미래사회를 혜안으로 내다보았다. 미래에 펼쳐질 국가의 흥운(興運)을 좌우할 청소년교육에 주력하고 국민들의 기본교양을 중시하여 근본을 배양하려 했으며, 가정문화를 중시하여 가정의 안정과 사회교육을 통하여 밝은 사회를 열려고 했고 군주에게도 정치와 교육철학을 제시하였다.
참고 자료
栗谷의 人性敎育論 - 정 병 연
栗谷의 人性敎育思想에 對한 小考 - 오 석 원 (성균관대 유학 ․ 동양학부 교수)
율곡의 인성론 연구 - 사단칠정과 인심도심의 관계 중심- -조 상 연
율곡 인성론의 교육적 함의 - 김 기 영
율곡의 생애와 삶을 통해 본 교육적 인간상 - 김 익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