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 받은 자료입니다.목차
서론중국과 한국: 21세기의 협력 동반자 관계
본론
Ⅰ. 한. 중 경제 교류
1. 한. 중 교류의 의의
2. 한. 중 경제 교류 증진 방안
3. 한. 중 간의 미래
4. 한. 중 관계의 변화
5. 한. 중 경제교류 현황 및 전망
Ⅱ. 중국의 국력변화와 21세기 한. 중 관계
1. 중국은 과연 강한 국가인가: ‘중국 위협론’의 평가
2. 중국 국력의 강약에 따른 한반도 영향 평가
3. 한국에게 유리한 중국
Ⅲ. 한. 중 관계발전
1. 한국과 중국의 국교정상화 배경과 영향
2. 현행 중국의 한반도정책
3. 한중관계 정상화를 통한 동북아 안전
Ⅳ. 동북아 지역협력질서 구축을 위한 한국의 역할
1. 동북아 국제정치의 역사적 유산
2. 21세기 동북아: 낙관론과 비관론
3. 동북아 질서: 협력과 갈등의 조건
4. 한국의 전략과 선택
5. 지역협력질서와 한국의 역할
Ⅴ. 한·중 경제 관련 주요 통계 (‘05.2월)
1. 한·중간 교류 현황
2. 양국간 주요지표 비교(‘04년)
Ⅵ. 한·중 교역 통계 (‘05.4월)
1. 우리나라 전체 교역동향
2. 한·중 교역동향
3. 중국의 수출입 동향
4. 중국의 10대 교역대상
Ⅶ.한반도 평화제제 수립과 동북아 대안안보체제 구축을 위한 과제
1.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에 대한 문제의식
2. 북미 당사자론과 한국정부의 당사자 자격
3. 남북 당사자론과 미국의 당사자 자격
4. 동북아 다자안보체제의 방향
5. 유럽식 신뢰구축 장치와 한반도
Ⅷ. 결론 : 향후 한․중관계와 한국의 대응방안
본문내용
서론중국과 한국: 21세기의 협력 동반자 관계
1992년 8월 한․중수교 이후 10년도 지나지 않은 짧은 기간 중에 한국과 중국은 모든 분야에서 괄목할 만큼 빠른 속도로 교류·협력 관계가 발전되고 있다. 경제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정치·외교·사회·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한․중관계는 그 전례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활발하게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양국간의 교류와 협력이 빠른 속도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지리적 근접성과 경제적 상호 보완성과 호혜성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실리적인 이해관계 이외에 한국과 중국은 기본적으로 탈냉전이후 동북아의 안정과 평화, 공동번영에 공통적인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국관계의 발전 잠재력이 충분히 발현될 수 있었다.
이런 공통의 인식에 기초해서 강택민시대의 한중간의 경제교류는 규모의 확대, 형태의 다양화, 협력내용의 심화를 통하여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다른 분야에서의 교류 협력도 대단히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양국간의 인적 교류가 다방면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중 수교당시 약 13만명의 수준이었던 민간교류는 중국여행이 자유화된 94년에 37.8만명에서 97년도에는 68.3만명의 수준으로 급증하였다. 비록 IMF등 한국측의 경제적 어려움으로 일시적으로 한국인의 방문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지만, 그대신 중국인의 한국방문이 좀 더 용이해 지면서 상호 인적 교류는 계속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다방면의 민간교류가 확대되면서 양국 고위 지도층간의 교류도 계속 확대 발전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의 정부, 의회, 정당의 고위 지도자들간의 상호 교환방문이 빈번하고, 양국의 최고 지도자들의 교환방문과 정상회담도 자주 개최되고 있다. 이를테면 강택민 주석은 1995년 11월에 한국을 방문하였고,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대통령과 모두 정상회담을 가지고 한·중 우호협력관계를 강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양국의 고위 지도자들이 한중관계 발전에 대해 모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양국간의 실리도 상당히 합치되는 면이 많기 때문에 양국관계는 경제협력의 차원에 국한되지 않고 정치·외교·사회·문화등 각 분야에서의 상호협력관계로 확대·심화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한중FTA에 대한 이해 7페이지
- [경제] 대중국 무역 경제협력 현황 및 방안 8페이지
- 현대 미디어의 순기능과 역기능 5페이지
- 한중일FTA의 경제적효과와 대응전략 17페이지
- [기업윤리] 다국적 기업과 문화적 상대주의 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