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hyperlipidemia)은 혈장내에 콜레스테롤(cholesterol)이나 트리글리세라이드 (중성지방이라고 명명하기도 하나 이는 바른 표현이 아니다. Triglyceride, TG)등과 같은 지질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고지혈증, 특히 고콜레스테롤 혈증 (hypercholesterolemia)은 죽상동맥 경화증(atherosclerosis)을, 고트리글리세라이드 혈증(hypertriglyceridemia)은 췌장염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더욱이 혈관벽을 따라 지질이 두껍게 쌓인 죽상동맥 경화증의 경우에는 혈류를 감소시켜 허혈성 심장질환과 협심증, 심근경색의 원인이 되므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지혈증은 해가 갈수록 점점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생활패턴의 서구화,영양 섭취량의 증가, 동물성 지방 섭취량의 증가, 평균체중의 증가, 운동량 감소, 스트레스 증가, 평균 수명의 연장 및 노년층 인구의 증가 등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Ⅱ. 원인과 병태생리
1. 원인
고지혈증의 원인은 유전적인 결함에 의한 일차성(primary) 고지혈증과 환경 인자(질병, 약물, 식이)에 의해 유발되는 이차성(secondary) 고지혈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절이 잘 안되는 당뇨병, 갑상선기능 저하증, 통풍, 신장질환, 뇨독증, 폐색성 간장애, 췌장염, 홍반성 낭창 등의 질환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고지혈증이 나타나며, 약물 중에는 경구 피임약, glucocorticoid, estrogen, 항고혈압약 등이 고지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알코올과 포화지방산 함유음식을 많이 섭취하는 것도 고지혈증의 원인이 된다. 위험인자로는 남성, 고혈압, 당뇨, 심한 비만, 흡연, 뇌혈관 질환이나 심장질환의 가족력 등이 있다 (표 1참조).
2. 병태생리(Pathophysiology)
혈장 지질은 지단백(lipoprotein) 복합체의 구성 요소로 존재한다. 혈장에 다량으로 존재하고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 혈장 지질로는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인지질 (phospholipids),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s) 등이 있다. 혈장 지질은 지단백에 의해 각 조직으로 운반되어 세포의 기능 유지 및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콜레스테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