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이론적 배경 2
3.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들 2
4. 연구문제 및 모형 3
Ⅱ 설문조사 방법 4
1. 설문조사 대상의 선정 4
2. 조사방법 4
3. 분석방법 4
4. 문제점 해결 4
5. 변수 설명 4
6. 조사의 한계점 4
Ⅲ 분석 결과 5
설문 응답자 분포 5
1.인구학적 문항에 대한 응답자 분포 5
1-1 성별에 따른 분포 5
本 論 7
Ⅰ 전체적인 만족도 분석 7
Ⅰ-1 전체문항의 만족도 평균 비교 7
Ⅰ-2 문항의 그룹화 8
Ⅱ 인구학적 요인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1
<가설 1> 나이에 따라 요양보호사 직업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11
<가설2> 월 소득 & 경력에 따라 요양보호사 직업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13
<가설3> 경력에 따라 요양보호사 직업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18
Ⅲ 요양보호사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結 論 21
1. 요양보호사의 직업 만족도 실태 21
2. 요양보호사 직업만족도 향상 방안 및 정책적 제언 22
♣ 참고 문헌 ♣ 25
설문지
본문내용
실제로 연구 분석을 실시 해본 결과 성별은 여자가 월등히 많아 성별에 대한 차이는 분석할 수 없었다. 나이에 따라 차이를 보인 것은 이직여부 질의 문항만이 차이를 보였다. 월 소득과 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인 것은 일에 대한 보람 및 만족도, 요양보호사 직업에 대한 만족도, 직업정신에 대한 만족도, 환자 의견수용에 대한 만족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가족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경력에 따라만 차이를 보였다. 월 소득에 따라 가족들과의 관계와 여가생활에 대해 만족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차이가 나지 않았다. 보호받는 대상자의 수에서도 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차이가 있는 것은 없었다.
차이가 나는 부분에서 자세히 살펴보면 나이에 따라 이직여부에 차이가 있다. 20대에게서 이직여부의 질의에 대한 문항에 답변이 가장 높았으며 다른 일의 기회가 주어지거나 이직을 위해 구체적으로 다른 일을 알아 본 것에 대해 아주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20대는 직업의 선택이 넓고 다양하기 때문에 현재 요양보호사의 직업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한 곳에 오래 있지 못하게 되면 또 다른 직장에서도 같은 문제로 이직의 기회를 찾고 있을 것이다. 20대는 40-50대 중년층에 비해 환자와의 공감대와 유대감이 없고, 딱딱하게 일처리만 할 수 있다. 환자와의 유대감, 공감대 형성을 우선으로 하여 환자에 대한 애착을 가지게 되고 정이 든다면 이러한 이직의 문제도 없어질 것이라고 예측해본다. 이에 따라 나이가 어릴수록 이직여부에 따라 직업만족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결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 1. 김윤진 [2008],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 김진애 [2009], “요양보호사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3. 원효숙 [2009], “요양보호사의 교육과 직무만족에 관한 고찰 연구”,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4. 보건복지부 , http://www.mw.go.kr/front/jb/sjb0101mn.jsp?PAR_
· MENU_ID=03&MENU_ID=03010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