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문학] <노처녀가(I)>, <덴동어미 화전가>의 이해와 그 속에 나타난 조선 후기 여성들의 인식
- 최초 등록일
- 2009.06.04
- 최종 저작일
- 2009.06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한국고전문학A+] <노처녀가(I)>, <덴동어미 화전가>의 이해와 그 속에 나타난 조선 후기 여성들의 인식
목차
I.들어가며.
II. 작품의 기본적인 이해 1 - <덴동어미 화전가>
1.<덴동어미 화전가>의 창작 년도
2. <덴동어미 화전가>의 줄거리
3. <덴동어미 화전가>의 특징
III. 작품의 기본적인 이해 2 - <노처녀가(I)>
1.<노처녀가1> 해제
2.<노처녀가1> 줄거리
3.<노처녀가1>의 특징
4.<노처녀가1>과 <노처녀가2>와의 비교
IV. 조선 후기 여성들의 인식의 변화와 규방가사
1.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와 규방가사의 등장
2. 작품 속에 나타난 조선 후기 여성들의 인식 변화
3. 두 작품에 나타난 인식 변화의 한계
V. 오늘날의 노처녀와 재가 여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
1. 오늘날의 변화된 여성들의 인식과의 비교
2. 방송매체-드라마를 중심으로-를 통해 본 노처녀와 재가여성의 모습
3. 같은 소재, 그러나 정반대의 작품 - 더욱 변화된 여성의 인식
VI.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들어가며.
조선 후기 급격한 사회 변화의 흐름 속에서 두드러진 것은 바로 신분 체계에 대한 부정과 그에 대한 인식의 변화라고 할 것이다. 엄격한 성리학적 가치관 하에서 억압되어 온 여성들은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맞추어 그 이전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사회적 활동들, 특별히 문학적 활동들을 보이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서 규방가사를 들 수 있을 것이다.
규방가사의 대표작품들을 통하여 그 속에 녹아 있는 조선후기 여성들의 변화상을 읽어내는 것은 큰 의의를 가질 것이고 이러한 견지에서 규방가사의 하나인 <덴동어미 화전가>와 <노처녀가(I)>을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로 본 발표의 목적은 (1) 위 작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덴동어미 화전가, 노처녀가1을 중심으로)와 (2)두 작품에 나타난 조선후기 여성들의 기존 사회 질서에 대한 변화된 인식의 모습을 탐구하는 것이다.
II. 작품의 기본적인 이해 1 - <덴동어미 화전가>
1.<덴동어미 화전가>의 창작 년도
<덴동어미 화전가>는 1979년 유탁일이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하고 김문기가 텍스트를 활자화한 작품으로서 20세기 초엽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는 기존의 전형적인 화전가가 주로 19세기 초엽에 성립했다고 보면 대략 1세기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덴동어미 화전가>는 19세기 초의 작품들과 대비되는 차이점을 보이게 된다.(이하 서술함)
2. <덴동어미 화전가>의 줄거리
(1)덴동어미 화전가는 크게 3가지 구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i) (서언 7행을 제외한) 처음 72행은 여인들이 치장을 하고 꽃을 따는 등 화전 놀이를 준비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ii)뒤이은 721행은 화전 놀이의 진행을, (iii)마지막 9행은 놀이를 마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볼 때 (i),(iii)단계는 (ii)놀이의 진행 단계를 위해 명목상으로 존재한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그 줄거리 역시 (ii)놀이의 진행 단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 조선후기 가사의 동향과 모색, 서영숙, 도서출판 역락, 2003
- 한국 여성가사 연구, 서영숙, 국학자료원, 1996
- 화전가류 가사의 창작 및 소통 맥락에 대한 재검토, 권순회, 민족어문학회, 2006
- <덴동어미 화전가>의 형상화 방식과 함의, 정무룡, 한민족어문학회, 2008
- 「덴동어미화전가」와 여성의 연대, 박혜숙, 한국여성문학학회, 2005
- <노처녀가 1〉 연구, 고순희, 한국시가학회, 2003
- 시적 체험의 다양성과 <노처녀가(1)> -규방가사 권역에서 향유된 <노처녀가(1)>을 중심 으로 , 하윤섭, 국어문학회, 2008
- < 삼설기본 노처녀가 > 의 갈등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 < 작가본 노처녀가 > 와의 대 비적 검토를 중심으로 - , 최규수, 한국시가학회,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