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의 지향점과 교과서 구성 연구(중학교 국어교과서의 고전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희*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고전문학 영역을 분석한 글입니다.저는 사범대를 졸업후 대학원에서 고전문학을 전공하고 있습니다.
문학교육과 관련된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 어느정도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Ⅱ. 문학교육의 지향점
1. 문학교육의 목표
2. 문학교육의 실천 방향
3. 문학 교과서 구성의 전제
Ⅲ. 7~9학년 국어교과서의 고전문학영역 분석
1. 텍스트 선정의 문제
1.1 학습목표와 맞지 않는 텍스트 선정
1.2 교육적 가치를 짐작하기 어려운 텍스트
1.3 잘못된 논리 구조를 접하게 할 가능성이 있는 텍스트
1.4 비극적 결말을 가지고 있는 텍스트
2. 읽기 전 활동 ․ 읽기 후 활동의 문제
2.1 읽기 전 활동
2.1.1 『홍길동전』의 읽기 전 활동
2.1.2 「가시리」의 읽기 전 활동
2.2 읽기 후 활동
2.2.1 인지적 내용학습에 치우쳐져 있는 학습활동
2.2.2 확대 해석을 조장하게 하는 학습활동
Ⅳ. 맺는 말
본문내용
먼저 7학년 2학기 2단원에 제시된 `(4) 옛이야기`를 살펴보자. 이 단원의 대단원 목표는 학습자로 하여금 문학이 지니는 고유한 아름다움을 알거나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런데 제시한 `옛 이야기`의 경우는 과연 문학의 아름다움을 다루기에 합당한 소단원인지 의문이다 교과서는 여기에 수록된 3개의 제재를 "고구려의 건국과 관련된 `동명왕 신화`", "장터 이름과 관련된 `지네장터`", "아름다운 우정을 내용으로 한 `우정의 길`"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제시된 제재의 내용 역시 건국신화와 보은과 우정을 다룬 전설, 민담이다. 그런데 학습자로 하여금 신화를 통해 문학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게 한다는 것이 가능한 학습일지는 의문이다. 신화를 읽고 이해한다는 것은 신화에 내재된 신화적인 세계와 의미를 이해한다는 것이다. 물론 신화도 문학의 범주 안에 들어가므로, 신화를 활용하는 교육도 문학교육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신화의 세계관을 이해한다는 것이 문학의 세계를 이해하고 문학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생각해보는 것과는 같다고 보기 힘들 것이다.8학년에 제시된 「서동요」도 마찬가지이다. 향가인 「서동요」는 8학년 1학기 3단원 `우리 고전의 맛과 멋`에 실려 있다. 대단원의 학습목표는 첫째, 고전 문학 작품에 나타난 우리 조상들의 사상과 정서를 이해하고, 둘째, 고전 문학 작품의 가치를 알고, 즐겨읽는 태도를 가지는 것에 있다. 이 학습목표를 실현하는데 과연 「서동요」가 적절한 텍스트라고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작품의 화자인 서동의 구애와 혼인은 전통적인 우리 조상들의 사상과 정서와는 거리가 있다. 순수한 사랑이라고 하기에도 무리가 있고, 재치 있는 성공담이라고 하기에도 무리가 있다. `조상의 사상과 정서`를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대표적인 작품으로 보기 힘들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김대행 외,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2005
김대행, 「인간교육과 문학교육」, 선청어문 32, 2003
김대행, 「국어교육의 위계화」, 국어교육연구 제 19집, 2003
김대행, 「국어 교과학의 과제」, 청람어문교육 25집, 2003
윤여탁, 「한국어 문학 교수 - 학습 방법의 현황과 과제」, 국어교육연구 제 18집, 2003
윤여탁 「문학 교재 구성을 위한 현대시 정전 연구」, 국어교육연구 제 5집, 1998
김혜영, 「현대문학 정전 재검토」, 문학교육학 제 25호, 2008
서유경, 「고전문학교육의 실행 현황과 향후 과제」, 국어교육연구 43, 2008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고전문학교육 위상 정립을 위한 연구」, 고전문학과 교육 9 , 2005
이신성, 「고전문학 교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어문학교육 제 27집, 2003
박기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의 단원 체제 연구」, 청람어문교육 28집, 2003
김동환, 「문학교육의 관점에서 본 소설 읽기 방법의 재검토」, 문학교육학 제 22호, 2005
박인희, 「고전문학교육과 표기법」, 2003, 새국어교육 제 65호
고영화, 「미래사회와 고전시가교육」, 문학교육학 제 25호, 2008
조희정․ 서명희, 「교과서 수록 고전 제재 변천 연구」, 문학교육학 제 19호, 2006
한창훈, 「고전문학 `텍스트`의 정체성과 교육적 가치」, 문학교육학 제 24호,2007
김창원, 「문학교육의 성격과 문학 교과서의 지향」, 국어교육학연구 제 27집, 2006
김종철 외 5인, 「7차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연구 제 19집,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