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리학 이전의 유학의 발전과정
유학은 2500년전 중국의 노나라에서 출생한 공자에 의하여 그 이전에 있었던 정치, 경제, 문화, 종교, 역사 등이 종합 정리된 것으로써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 일본 등 한자문화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사상이다.
우리나라에는 고조선 시대에 이미 한자와 같이 수입된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효에 관한 사상이 중시되었다. 삼국시대에는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계급적 도덕 규범으로 작용하였으며 통일신라시대가 시작되면서 불교 및 도교가 절충되고 통치계급의 집권을 강화하는데 봉사하였다.
고려 말기의 불교의 폐단은 유교가 집권체제로서 새롭게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2. 성리학의 수용과 발전
◎ 성리학의 수용
성리학은 중국 송(宋), 명(明)나라 때 유학의 한 계통으로 남송의 주희가 집대성하였다. 당시 중국의 유학자들의 판단으로는, 불교나 도교가 지닌 현실 대응상의 약점은 무엇보다도 가정과 사회를 멀리하며 심지어 국가생활조차 가볍게 보는 점이었다. 이렇게 성리학은 그 발생 과정부터 불교와 대항하려는 의식을 가지고 있었던 이론 체계인 것이다.
고려 시대는 불교이념에 의해 지배되었던 사회였다. 신진 사대부들은 고려 말에 발생했던 많은 문제들이 불교 때문이라 판단하여 새로운 이념이 필요 하다고 생각하였고, 그들이 선택하였던 것은 비슷한 역사적 경험을 통해 태 동된 성리학이었다.
· 정대환,『조선조 성리학 연구』, 강원대학교출판부, 1992.
· 윤사순,『한국 유항 사상론』, 열음사, 1986.
· 김준석,『유교 사상론』, 지식산업사, 1997.
· 예문동양사상 연구원 윤사순 공저,『퇴계 이황』, 예문서원, 2002.
· 황의동,『위기의 시대 유학의 역할』, 서광사, 2004.
· 김태길,『유교적 전통과 현대한국』, 철학과 현실사, 2001.
· 윤사순,『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삼인, 1998.
· 최완기,『조선시대사의 이해』, 느티나무, 1993.
· 지두환,『조선시대 사상과 문화』, 역사문화, 2003.
· 김광식 전락희 유종선 장인성 공저,『조선시대 개혁사상 연구』,
·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 1998.
· 유초하,『한국 사상사의 인식』, 한길사, 1994.
· 황준연,『한국사상의 길라잡이』, 박영사, 1999.
· 고영진,『조선시대 사상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풀빛, 1999.
· 금장태,『유학사상과 유교문화』, 전통문화연구회, 1995.
· 이동희,『조선조 주자학의 철학적 사유와 쟁점』,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 한국사상사연구회,『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02.
· 송양섭,「조선은 주자학 때문에 망했을까」,『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2),
· 청년사, 1996.
· 김준석,「유교사상론」,『한국사 인식과 역사이론』, 지식산업사, 1997.
· 오종록,「한국 중세사는 유교에 의해 발전하였는가」,『역사비평』2002년 겨울호,
· 역사비평사, 2002.
· 한국역사연구회,「조선의 성리학과 농민」,『한국사강의』, 한울, 1989.
· 조휘각,『한국 근대 정치사상』, 보고사, 1989.
· 한국철학사연구회,『한국 철학 사상사』, 한솔아카데미, 1997.
· 박영규,『한권으로 읽는 조선 왕조 실록』, 들녘, 1996.
· 김형광,『인물로 보는 조선사』, 시아출판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