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동차 산업의 과거와 현황, 그리고 미래.
*성*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A+ 받은 중국 자동차 산업에 관련된 레포트 입니다.과거와 현황, 그리고 미래에 대해서 표 관련 내용도 충실하고
깔끔하게 정리된 자료입니다.
정말 열심히 만든만큼 다른분들도 좋게 사용하시면 좋겠습니다.
목차
1.서론2.본론
(1). 중국 자동차 산업 발전
(2). 중국의 신자동차산업 정책
(3). 중국의 자동차산업 정책 변화
(4). 중국의 자동차산업의 특징과 한계
(5). 중국자동차시장의 소비시장
(6). 국내 및 외국에서 중국으로 투자하는 기업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1). 중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중국의 자동차산업은 중국경제의 성장과 함께 거대한 자동차의 시장잠재력이 가시화되기 시작하자 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개방 및 자유화와 함께 중국의 WTO가입은 중국 자동차시장의 성장을 가속화시켰습니다. 중국 자동차산업의 발전은 크게 네 단계로 발전되었습니다. 첫째 단계인 산업의 태동간계(1953〜1984년), 대외개방에 따른 모색단계(1984〜1994년), 개인 구매 개시단계(1994〜2000년), 그리고 개방 확대 및 산업재편성단계가 그 것입니다. 아래의 <표1>에서는 중국 자동차산업 발전의 추이를 보여줍니다.
구 분
1953년〜1984년
1984년〜1994년
1994년〜2000년
2001년〜현재
산업의
태동단계
대외개방에 따른
모색단계
개인 구매
개시단계
개방 확대 및 산업재편성단계
특징
-1953년, 제일기차 설립
-1958년, 동풍승용차 생산
-1969년, 동풍기차 설립
-외국의 자본 및 기술의 도입으로 새로운 돌파구 마련
-승용차산업 기초 확립단계
-Family Car 개념 도입
-제 2합작 붐 형성
-승용차의 개인구매 확대
-경제형 승용차 시장진입 활발
-시장경제 도입
산업
정책
-1972년, 자력갱생 정책
-1省1공장정책
-1차 5개년계획 개시
(1956년〜1960년)
-7·5계획 발표(1986년): 자동차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채택
-1987년, 3대3소확립
-1994년, 자동차산업정책 발표
-1997년, 완성차 & 엔진 프로젝트
(허가 기관을 국무원으로 상향. 외국기업 투자제한 품목 설정)
-10 · 5계획발표(‘10년)
-자동차소비정책 발표 예정 : 본격적인 개인 소비 활성화 목표
외국
기업
진출
현황
-구소련 생산모델 수입
-1984년,최초합작회사(북경JEEP)
-광주푸조, 상해VW 설립(1985년)
-다이하츠 기술도입으로
XLALI생산(1986년)
-일기VW설립(1991년)
-장안ALTO(1995년),
귀주 REX(1998년)
-1997년, 상해GM 승용생산 허가
-1998년, 광주혼다 어코드 생산
-1999년, 도요타 승용생산 허가
-2002년 : 동풍열달기아, 북경현대, 동풍닛산 합작법인 설립, 일기, 천진기차 인수합병
-2003년 : TOP10기업이 전체시장 80% 이상 점유
<표 1> 중국자동차산업 변천 추이
자료 출처 : (현대·기아자동차) 중국 마케팅 사례 p,6
<표1>에서 볼 수 있듯이 ‘자동차산업의 태동시기’ (1953년〜1984년)에는 1953년 제일기차 설립을 출발로 하여 기본적으로 화물차 생산이 자동차산업의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중국 초기 자동차산업의 발전은 안정적이었으나, 이후 대약진운동, 문화대혁명 등의 대규모 정치 변동과 계획경제체제 하에서 발전을 이어가지 못하게 되었으며 1980년대에 이르러 자동차 생산은 단지 20만대 생산에 그치게 됩니다.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 개도국들의 자동차산업이 대체로 CKD(completely knock down)를 거쳐 국산화단계 마지막으로 독자개발단계에 이르는 데에 반해 중국의 자동차산업은 자체개발, CKD, 국산화 순의 발전단계를 거쳐 온 것이 특징입니다.
두 번째 단계(1984〜1994년)는 개혁·개방에 따른 새로운 ‘모색’의 단계로써 개혁·개방정책 실시 6년 후, 경제성장에 따른 승용차의 수요를 국내 생산이 따라잡지 못하는 형국이 전개되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는 1984년 북경경기차가 미국 AMC사(후에 크라이슬러에 합병)와 중국 최초의 승용차 합작회사인 북경지프자동차유한회사 설립으로 인해 어느 정도 해소됩니다. 이후 1986년 중국정부는 중국 내 자동차산업을 국가 주요 전략사업으로 채택한 ‘7·5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중국 자동차산업의 승용차 생산량을 급속히 성장시킨 최초의 중국 자동차산업정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중국소비자들의 자동차 개인 구매 개시단계인 ‘도약’의 기간(1994년〜2000년)으로 규명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승용차산업의 기초 확립의 단계로써, 최초 중국시장 내에 ‘Family Car`개념 도입으로 인해 개인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상당히 자극하였지만, 각종 세제, 지방보호정책 등으로 한계를 보여준 시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이 기간에는 외국 업체들의 적극적인 중국시장 진출과 중앙과 지방정부의 육성책에 의해 대부분의 승용차업체들이 양산체제를 구축하면서 제 2의 합작 붐이 일어나기 시작하였고, 상해 GM. 광주혼다 설립이 그 예입니다.
마지막 단계는 중국 자동차시장의 폭발적인 성장과 혼란의 기간인 ‘개방 확대 및 산업 재편성단계’(2001년〜현재)로써 중국의 WTO가입 이후 전 세계의 자동차 기업들의 관심이 중국시장에 집중된 시기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국정부의 ‘국가공업발전 10·5계획’ 발표를 통해 승용차를 중국 인민이 향유 할 수 있는 제품으로 설정함으로써 폭발적인 자동차 시장 규모 확대의 근간이 되게 됩니다.
(2). 중국의 신자동차산업정책 (현재 11차 5개년 계획)
중국은 2004년 4월에 ‘신자동차산업정책’을 통해 자동차 산업을 수출기간산업으로 설정하고, 정책목표를 국내수요 대응에서 수출경쟁력을 갖춘 자동차산업의 육성으로 변경 하였습니다. 그리고 ‘11차 5개년 계획’을 통해 자동차산업의 지주 산업으로서의 육성을 가속화 하였습니다. 중국 정부는 ‘11차 5개년 계획’에서 기존의 외자기업 중심의 발전 체제를 중국 독자기업 중심으로 전환하고 국내기업의 독자 모델 개발능력 확보와 핵심 부품산업의 육성을 최대 목표로 설정 하였습니다.
참고 자료
임기택 (2003) 중국 자동차 산업의 현황과 미래 : China 화서당김현철 (2004), 중국 자동차시장 연구, 선인
産業硏究院(2004), 중국 자동차산업의 발전전략과 우리의 대응, 産業硏究院
최병헌 (2007), 중국 자동차 산업의 미래 : 다국적기업의 전략 변화 전망, 한국학술정보
이장로 외 (2007), (현대·기아자동차) 중국 마케팅 사례, 貿易經營社
이항구,송하율 (2006), 중국 발전전략 전환에 따른 자동차산업의 대응전략, 産業硏究院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중국자동차산업의 현황 및 우리의 진출전략 19페이지
- 중국 자동차 산업 현황 분석 및 전망과 문제점 13페이지
- 중국의 자동차 산업의 문제점과 전망 6페이지
- [중국 진출 방안] 중국 자동차시장의 특징과 환경, 전망 및 중국 자동차시장 진출 전략 18페이지
- 중국 자동차 산업 1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