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사상 - 다산 정약용의 교육사상에 관한 리포트입니다
목차
정약용의 교육사상
Ⅰ. 다산의 교육관
Ⅱ. 다산 정약용과 시대적·사상적 배경
1. 다산의 생애
2. 시대적 배경
3. 다산의 실학적 기초
Ⅲ. 인간학적 윤리의 정립과 실천성
1. 천명의 인간학적 실현
1) 至善을 행한 실천적 誠
2. 인륜의 실천
1) 인의 실천 방법적 요체로서 恕
2) 忠恕의 해석
3) 효·제·자의 실천윤리학적 확충
Ⅳ. 다산의 교육관
1. 학문의 목적
2. 학문의 방법과 특징
3. 전통적 사유방식과 제도에 대한 비판적 개혁의식
1) 술수학에 대한 비판과 합리적 정신
2) 문자 교육의 방법과 음악의 교화 기능
(1) 아학편
(2) 음악론
3) 국학
4) 기예론(技藝論)
Ⅴ.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Ⅰ. 다산의 교육관
다산은 수기치인의 학을 지향한다. 인간은 공동체 안에서만 자기를 형성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다산은 성리학의 형이상학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독자적인 사유체계와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유학은 인본주의·인문주의를 지향하며, 인간의 주체적 자율성의 확립과 인격적 자아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인이나 예 등은 모두 인간의 주체적인 인식과 가치의 정립, 사회적 실천까지를 지향하는 의지적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성리학은 존재론적 성향의 인간관을 강조함으로써, 인간의 덕과 실천적 근거를 추상적인 ‘리’의 개념으로 환원시키고 이를 다시 ‘성’의 내재적 실체로 규정하였다. 결국 신유학은 유학을 형이상학적 측면에서 이론적으로는 발전시켰으나, 유학 본연의 주체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을 퇴색시켰으며, 공허한 이론적 논쟁과 소모적인 당쟁 등으로 시대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였다.
다산은 기존의 사상과 질서에 대한 반성적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학문 체계를 정립했다. 주자 성리학을 비판하고, 원시유학의 본질을 회복하기 위하여 인격적·도덕적 상제천의 재인식, 실천윤리로서의 효·제·자 및 새로운 인 개념의 정립과 수기와 치인의 통일을 시도하였다.
다산학은 단순히 주자학에 대한 비판이나 원시유학에로의 무조건적 복귀에 그쳤던 것이 아니라, 재창조함으로서 당시의 현실에 대처하고자 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근대적 가치를 요구하는 시대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주체적 인간관을 창조하는데 학문적 목표를 두었으며, 이를 위해 원시유학의 정수인 인본주의와 인문주의를 근대적으로 발전시켜 새롭게 정립하려고 노력하였다.
수기치인의 이상을 달성한다는 것은 결국 인간 주체의 본질이 의지적 결단과 주체의 행위를 통해 완성되는 인격적 성숙을 의미하며, 이것은 결국 사회적 영역에 대해, 자신에게 부과된 최대한의 이상적인 능력과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수기와 치인의 일치는 개인의 인격적 완성을 전제로 하며 이는 내면적인 초월에 있는 것이 아니라 ‘행사’라는 사회적 실천을 통해 확립되어진다.
참고 자료
김영우,『교육사․교육철학』, 교육과학사, 1998.
이을호,『정다산의 생애와 사상』, 박영사, 1985.
장복동,『다산의 실학적 인간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2.
장승희,『다산 윤리사상 연구』, 경인문화사, 2005.
금장태,『정약용 - 한국실학의 집대성』,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2.
강용복,『다산 정약용의 교육관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1.
백승윤,『다산의 교육사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