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마항쟁
- 최초 등록일
- 2009.05.16
- 최종 저작일
- 2009.0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이 글은 부산, 경남의 대표적 민주화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 부마항쟁에대해서 서술한 글입니다. 이 글에 앞서 광주민주화운동과 비교하는 기사를 써서 학교 학회지에 기고했다가, 다시 근대사 과제때문에 부마항쟁에 대해 심층적으로 서술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발생배경
1) 정치ㆍ사회적 배경
2) 경제적 배경
ⅱ 부마민중항쟁의 전개과정
1) 부산대학교 교내시위와 시가지 진출
2) 도심지 민중항쟁의 확산과 종결
ⅲ 항쟁의 성격
ⅳ 항쟁의 의의와 한계
Ⅲ 결론
본문내용
ⅳ 항쟁의 의의와 한계
부마항쟁은 단지 미완의 항쟁이라는 그 직접적 결과의 서술만으로는 결코 다 담아 낼 수 없는 역사적 의의를 함축하고 있다. 먼저 서슬 퍼렇던 긴급조치시대의 숨막히는 억압구조를 뚫고, ‘4월혁명’ 이후 처음으로 본격적인 민중항쟁의 지평을 열었다. 그런 점에서 부마민주항쟁은 70년대 반유신 운동의 귀결점이자 총 결산이었다. 즉 100만인 서명운동, 민청학련 사건, 3ㆍ19선언, 국민연합등 재야, 학생, 지식인 중심의 민주화 운동은 반유신 운동의 중요한 마디를 이루면서 그 마지막 결산으로서 부마민주항쟁이 터져 나왔던 것이다. 그리하여 부마민주항쟁은 학생운동이나 소수 망명가들에게 국한되어 있던 70년대 민주화 운동 보다 정권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햇으며 답보상태에 있던 민주화 운동세력을 추동하면서, 80년대 5ㆍ18민중항쟁과 6월 항쟁이라는 대규모 반독재 민주항쟁의 도래를 예고하고 향도하는 역할을 했던 것이다. 무엇보다 부마항쟁의 의의는 박정희 유신정권 붕괴의 결정적 계기로 작용하였다는 데 있다. 당시 전국의 각 대학으로 확산되어 갈 조짐을 보이던 유신말기 반독재 항쟁의 거대한 중심으로 솟아오르면서 정권 내 권력암투를 보다 급속히 자극하여 10ㆍ26사태와 박정희 정권 몰락의 결정적 계기로 작용했던 것이다. 유신체제를 붕괴시킨 직접적 계기는 10ㆍ26정변이라는 정권 내부의 분열과 암투였고, 여기에 부마민주항쟁은 하나의 배경으로 치부하는 인식이 없지 않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정권의 동요나 내부분열을 불러 일으키기까지의 피지배 민중의 ‘지속적이고 심각한 저항’ 그 자체이다. 정권내부의 분열, 김재규의 저격에 의한 박정희 암살, 미국의 모종의 관련성에 대한의혹 등은 모두 부마민주항쟁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적 필연의 구성적 계기에 지나지 않은 것이다. 이런 점에서 부마민주항쟁은 민주주의를 위한 민중항쟁의 역사에서 당당히 한 장을 차지한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이행봉. 「부마민주항쟁의 개관, 성격 및 역사적 의의」. 『부마민주항쟁 연구논총』.2003. 민주공원.
손호철. 「부마민주항쟁의 정치적 배경」.『부마민주항쟁 연구논총』.2003. 민주공원.
홍장표, 정이근. 「부마민주항쟁의 경제적 배경」.『부마민주항쟁 연구논총』.2003. 민주공원.
부산민주운동사편찬위원회. 「부마항쟁」. 『부산민주운동사』. 1998. 부산광역시.
이수인. 「부마사태의 장막을 벗긴다」. 『신동아』. 1985년 5월호.
역사학연구소. 『강좌 한국근현대사』. 1995. 풀빛.
이근성. 「유신정권과 재야세력의 등장」. 『유신체제와 민주화 운동』. 1984. 춘추사.
김인걸. 『한국현대사 강의』. 1998. 돌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