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진-태봉의 중앙정치조직의 성격
- 최초 등록일
- 2009.05.12
- 최종 저작일
- 2009.04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궁예정권의 중앙정치조직의 성격에 대해 여러 문헌들을 보고 작성한것입니다.
목차
國文槪要
머 리 말
Ⅰ. 광평성체제의 성립과 그 성격
1. 광평성체제의 성립
2. 광평성체제와 신라관제의 비교
Ⅱ. 광평성체제의 변화와 왕권의 전제화
1. 광평성체제의 변화
2. 광평성 시중의 정치적 지위 격하
3. 내봉성의 격상
4. 순군부와 내군의 설치
맺 음 말
參考文獻
본문내용
머리말
통일신라에서 고려왕조로 이행되는 과정에 놓여 있는 羅末麗初시기는 중앙정부의 지방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하면서 전국 각지의 농민반란이 일어났고 반독립적인 지방 세력들이 나타났다. 이들을 기반으로 반신라적 반란세력 중에서도 특히 궁예와 견훤은 각기 고구려와 백제의 부흥을 내세우면서 나라를 세워 신라와 대립구도를 이루었다. 이 시기를 흔히 후삼국시대라고 한다.
후삼국 중 901년 후고구려의 건국과 동시에 성립된 궁예정권은 918년까지 지속되었다. 궁예정권에 대한 사료는 많지 않다. 그리고 그 사료들의 대부분은 고려 시대에 작성되었거나 기초되었기 때문에 왕건의 집권을 합리화시키면서 궁예와 궁예정권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측면을 과장하고 사실을 은폐하거나 폄하하였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았을 것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도 고려 초의 제도정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그에 선행하는 궁예정권의 중앙정권에 대해 잠시 언급할 뿐이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이러한 연구경향을 탈피하여 궁예정권 자체의 역사적 성격과 궁예와 견훤이 주도한 골품제사회 해체와 지방 세력의 대두라는 흐름 속에서 차지한 역사적 위상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당시에는 후삼국시대를 주도한 인물 중의 한 사람인 궁예의 중앙정치조직에 대해서 연구해봄으로써 궁예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중앙정치조직을 마련하고 그것에 변화를 주게 되었는지 알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Ⅰ. 광평성체제의 성립과 그 성격
1. 광평성체제의 성립
궁예가 중앙 정치조직을 처음으로 마련했던 것은 철원에 도읍을 정하였던 896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궁예가 철원을 도읍으로 정하였을 무렵의 사정을 전하는 것으로 보인다.
善宗自以爲衆大 可以開國稱君 始設內外官職 (《삼국사기》50 궁예전)
참고 자료
변태섭, 1970「고려시대 중앙정치기구의 행정체계」『역사학회』
변태섭, 1981「고려초기의 정치제도」지식산업사
이기백, 1968「고려 경군고」『고려병제사연구』
이기백, 1974「신라하대의 집사성」『신라정치사회사연구』일조각
이기백, 1975「귀족적 정치기구의 성립」『한국사』5
이재범, 1991「국가 통치체제의 정비」『후삼국시대 궁예정권의 연구』
이재범, 1991「궁예정권의 철원정도 시기와 전제적 국가경영」『후삼국시대 궁예정권의 연구』
이태진, 1972「고려 재부의 성립-그 제도사적 고찰-」『역사학보』56
조인성, 1986「궁예정권의 중앙정치조직-이른바 광평성체제에 대하여」『백산학보』33
조인성, 1991「태봉의 궁예정권 연구」
조인성, 1993「궁예의 세력형성과 건국」『진단학보』75
조인성, 2007「마진ㆍ태봉의 중앙정치조직」『태봉의 궁예정권』
조인성, 2008「태봉의 중앙정치기구」『궁예의 나라 태봉』
황선영, 1988「고려 태조대의 중앙권력구조」『고려 초기 왕권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