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제망매의 해석에 관하여목차
Ⅰ. 원문Ⅱ. 배경 설화
Ⅲ. 작품 기존 연구사
1. 향가 해석
2. 작품 문학사적 의의
Ⅳ. 해당구절
1. 기존의 해독
2. 기존해독에 대한 비판
3. 대안제시
※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의 제망매가를 분석함에 있어서 A, B, C의 3단계로 나누어 논의하고자 한다.편의상 제망매가의 1~4구까지를 A, 5~8구까지를 B, 9~10구를 C라고 하여 고찰해 보겠다.
A부분 1,2구에서 누이는 한 인간으로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지니고 있었다. 인간은 누구나 영원히 살고자 하지만 운명적으로 두려움을 지닐 수밖에 없는 존재임을 인식하고 있다. 이는 문맥상으로는 인식의 주체가 누이가 되겠지만, 누이를 통해 지은이의 인식이 표현된 것이라 하겠다. 3,4구는 인생 허무의 절규이다. 인간 세계에는 재난이 끊이지 않고 기대는 좌절되기가 일쑤이다. 뿐만 아니라, 생명이라는 것도 영속되는 것이 아니라 결국은 늙어서 죽어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간이란 하나의 유한적 존재로서 주어진 굴레 안에 폐쇄된 존재이므로 거기에는 언제나 불안이 있고 비탄이 따르기 마련이다.
이처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안고 세파에 시달리다가 찰나에 사라져 간 인간 본체, 특히 혈육의 죽음에 대한 허무감이 절규가 되어 표현되고 있다고 하겠다. 인간 세계에 태어나서 채 피지도 못하고 지는 꽃처럼 이내 죽어간 누이에 대한 지극한 우애가 표현 이면으로부터 배어나와 그 애절함을 더해주고 있는 대목이다.
B에서는 인생 문제를 ‘바람’ 이나 ‘잎’ 등의 자연물을 통해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한 가지’ 라고 표현한 것은 같은 부모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월명사와 죽은 누이의 부모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신라인 전체의 삶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간의 삶은 현세에서의 삶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내세라는 공간으로 옮겨가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러면서도 ‘가는 곳을 모른다’ 고 함으로써 세상의 삶의 덧없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 부분에서는 한 어버이 밑에서 늦게 태어난 누이를 먼저 보내야 했던 월명사의 悔恨이 역력하다. 특히 ‘한 가지에 나고’ 로 표현된 부분은 같이 났으니 같이 살고 죽어야 하는 당위성을 전제하고 그 애닯은 심정을 토로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 자료
구본기(1992), 한국 고전 시가 작품론1, 백영, 정병욱 10주년 추모 논문집, 집문당.국어국문학회 편(1998), 향가연구, 태학사.
김사엽(1985), 향가의 문학적 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김승찬(1986), 향가문학론, 새문사.
김주관(1996), “경덕왕대 향가의 배경설화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김완진(1980), 향가의 해독법 연구, 한국문화연구소.
김태곤(1971), 한국무가집1, 집문당.
박노준(2001), 향가여요의 정서와변용, 태학사.
박인희(2001), “삼국유사 소재 향가 연구-편목과 서사물의 관련양상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배한순(2003), “경덕왕대 향가연구”,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신재홍(2000), 향가의 해석, 집문당.
유상철(1993), “향가에 나타난 무교의식과 불교의식 연구”, 한국 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윤영옥(1988), 신라 가요의 연구, 형설출판사.
이연숙(1999), 신라 향가 문학 연구, 박이정.
이영태(1998), 한국 고전시가의 재조명, 국학자료원.
이완형(2002), “삼국유사 향가의 성격과 기능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이인구(1991), “월명사의 향가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이혜영(2000), “주술향가에 나타난 표현방식 고찰”,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조동일(1994), 한국 문학 통사2, 지식산업사.
최선경(2002), “향가의 제의가적 성격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최철(1983), 향가의 문학적 연구, 새문사.
최철·설성경(1984), 향가의 연구, 정음사.
최철(1990),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최철(1997), 한국고전시가사, 집문당.
홍성철(2001), “향가의 서사적 성격과 서정성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황패강(1990), 벽사 이우성 선생 정년 기념 국어국문학 논총, 창작과 비평사.
황패강(2000), 향가 문학의 이론과 해석, 일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