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우위 단편사례1
1. 원가우위(Cost Advantage)
2. People Express사의 원가 우위 전략
3. 원가우위의 획득
원가우위 단편사례2
☐ 델 컴퓨터
☐ 베이직 하우스
차별화 전략 단편사례
☐ 에버랜드
☐ 하이트
☐ Hera
전략적 제휴 단편사례
☐ LG 전자의 제휴 현황
☐ 제휴 추진 방법
본문내용
☐ 에버랜드
삼성에버랜드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사업에서 6시그마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킨 대표적인 기업이다. 제조업체와 달리 축제 놀이공원 등은 계량화가 쉽지 않지만 삼성에버랜드는 일찍부터 6시그마에 착수해 속속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에버랜드 장미축제에 6시그마 방법론을 적용해 방문객을 늘린 것은 서비스업종의 대표적인 6시그마 성공사례중 하나이다. 이 축제는 지난 1985년부터 시작돼 에버랜드를 단순한 놀이공원에서 이벤트 공원으로 탈바꿈시킨 주역이었다. 그러나 외환 위기이후 입장객 회복이 다른 매장보다 뒤져 지난 2001년 봄 본격적인 대책마련에 나서게 됐다. 축제기간 방문객을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구성비가 가장 높은 개인고객은 97년 수준의 60%에 머물러 전체 영업부진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특히 평일과 토요일 야간 방문객이 38%수준으로 큰 폭 감소했다. 또 장미정원의 정원면적의 37%에 불과하고 장미품종도 연간 1회 개화하는 넝쿨장미가 41%를 차지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에버랜드는 고객의 수요와 핵심요구사항 조사와 경쟁사 벤치마킹을 실시했다.
고객의 핵심요구사항은 "방문 시 비용부담 경감","축제에 대한 만족도 향상","커뮤니케이션 확대 및 차별화",
"교통 편리성 확보"로 정리됐다. 이에 따라 연령 타깃을 기존의 30대 위주에서 20대로 확대하고, 꽃과 함께 테마성이벤트가 어우러진 "테마축제"로 차별화하는 것으로 전략을 수정했다. 장미축제 콘셉트를 "사랑의 프러포즈"로 정하고 그에 맞는 다양한 이벤트, 행사, 공연 등을 개발했다.
요일 및 시간대별, 표적시장 계층별 홍보수단과 전개 방안을 설계하고 고객핵심요구사항별로 중점과제와 달성방안 등을 마련해 고객확보에 나섰다. 그 결과 축제기간 개인 방문객은 전년대비 6만6천명(10%)증가했고 그중 타깃으로 삼은 평일과 토요일 야간 입장객은 4만7천명(32%)이나 늘어났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