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드스케이프 건축의 한국적 수용과 도시에의 반영
- 최초 등록일
- 2009.05.06
- 최종 저작일
- 2008.06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한국적 수용과 도시에의 반영에 대한 레포트로써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한국과 외국사례의 차이점 그리고 한국 건축가와 외국건축가의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대한 차이점을 서술하였다.
목차
1.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정의
2. 한국에서의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정의와 의미
3. 시대에 따른 한국적 랜드스케이프 건축과 변화
4.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한국적 수용의 사례
5. 도시와 랜드스케이프건축과의 관계
6. 도시에 반영된 한국적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사례
7. 한국적 랜드스케이프 건축이 미친 도시에 영향
8. 결론
Reference
본문내용
1.서론
오늘날 한국의 건축은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대한 빠른 수용과 그것을 통한 도시에서의 건축의 역할에 대한 하나의 화두가 형성되었고 그것은 서구의 랜드스케이프 건축을 그대로 답습한것이 아닌 또다른 한국적 랜드스케이프로서의 다른 도시에서의 건축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한국적 변형의 본질과 그것이 도시에서 어떤 의미로 적용되어지는가에 대한 현상을 정리해보고자 함이다.
2.랜드스케이프 건축의 정의
2.1랜드스케이프 개념의 변화
랜드스케이프는 현대건축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적인 용어로서 풍경,경치,경관 또는 조경의 의미로 해석되어 풍경이나 조경개념의 일부로서 느껴지지만 이것은 건축을 둘러싼 물리적인 주변환경과 주변상황을 의미하는 용어이기도 하다.1)
랜드스케이프 개념은 17세기 네덜란드 회화장르에서 처음 소개 된 것으로 18세기 픽쳐레스크 개념을 바탕으로 한 영국의 풍경식 정원을 통해 본격적으로 건축에 사용되었다. 그이후 ‘조경’으로 독자적인 장을 구축하면서 수목의 절삭기법이나 공간구성방식을 통해 발전하였다. 랜드스케이프가 건축과 본격적인 관계를 가지게 된것은 1980년대 선구적 건축학교를 중심으로 랜드스케이프에 대한 관심이 부활하게 되었고 최근 10년 정도가 본격적인 담론이 형성된 시기이다.
랜드스케이프 개념은 문화적 장치로써 주변 환경을 배경으로, 건축을 독립적인 오브제로 보는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속의 일부로써 작동하는 장치로 보는 것이다. 즉 랜드스케이프 건축은 물리적으로 사물을 둘러싸고 있는 공간에 대한것에서부터 출발하여 사물과 사물의 공간을 관계 맺는 역할로 주변상황과 위치하는 대지의 일체화되는 건축을 이야기 하는 것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2.2 랜드스케이프 개념의 현대적 의미
1900년대 후반에 들어서 랜드스케이프라는 용어는 ‘건축적 경관(Architecture landscape)’2) 이라는 개념으로 건축분야에서 사용되며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되엇다. 현대 사회에서 ‘건축적 경관’은 기존의 ‘자연적 경관’과 구별되는 것으로서 넓은 의미의 경관이 된다.
참고 자료
space 2007년 4월 , 공간사
space 2007년 11월 , 공간사
Landscape as Urbanism -Charles Waldheim , 조경
행정중심복합도시 도시개념국제공모에 나타난 ‘탈중심적 도시구조’에 관한 연구 , 논문
현대건축에서의 생태적 건축공간과 자연과의 관계 양상에 관한 고찰 , 논문
랜드스케이프 건축에서 구현된 Urban Void의 성격에 관한 연구 , 논문
땅의 속성을 반영하는 지형적 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논문
랜드스케이프 건축개념의 재유형화에 관한 연구 , 논문
땅의 속성이 건축 프로그램으로 작동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 ,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