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莊子』, 안동림 역해, 현암사, 1999.
· 『莊子 上 下』, 김학주 역해, 을유출판사, 2000.
· 『莊子 內篇 外篇 雜篇』, 헤원출판사, 1997.
· 『論語集註』, 成百曉 譯註, 傳統文化硏究會, 1999.
· 왕필,『왕필의 老子』, 임채우 엮, 예문서원, 1998.
· 갈 로, 중국회화 이론사, 강관식 역, 미진사, 1997.
· 강태희, 현대미술의 문맥 읽기, 미진사, 1995.
· 고든 그레이엄, 예술철학, 이용대 역, 이론과 실천, 2000.
·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5.
· 김경희, 게슈탈트 심리학, 학지사, 2000.
· 김광명, 삶의 해석과 미학, 문화사랑, 1996.
· 김상환, 해체론 시대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6.
· 김상환, 예술가를 위한 형이상학, 민음사, 1999.
· 김영민, 철학으로 영화보기 영화로 철학하기, 문학과 지성사, 1994.
· 김원방, 잔혹극 속의 현대미술, 예경, 1998.
· 김용옥, 노자와 21세기 上, 통나무, 1999.
· 김용옥, 석도화론, 통나무, 1996.
· 김형효, 노장사상의 해체적 독법, 청계, 1999.
· 김형효, 데리다의 해체철학, 민음사, 1998.
· 로버트 솔소, 시각심리학, 신현정․유상옥 엮, 시그마프레스, 2000.
· 로이 보인, 데리다와 푸코, 홍원표 엮, 인간사랑, 1998.
· 루돌프 아른하임, 예술심리학, 김재은 엮,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 마단 사럽 외, 데리다와 푸코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인간사랑, 1999.
· 마르틴 하이데거, 동일성과 차이, 신상희 엮, 민음사, 2000.
· 마르틴 하이데거, 예술작품의 근원, 오병남․민형원 엮, 예전사, 1996.
· 박이문 외, 동아시아 문제와 시각, 문학과 지성사, 1996.
· 벵쌍 데꽁브, 동일자와 타자, 박성창 엮, 인간사랑, 1996.
· 사또루 후지, 미와 조형의 심리학, 김복영 엮, 조형사, 1999.
· 서복관, 중국예술정신, 권덕주 외 역, 동문선, 1997.
· 서성록, 동서양 미술의 지평, 재원, 1999.
· 스타인즈스키, 이것은 미술이 아니다, 박모 엮, 현실문화연구, 1997.
· 이정우, 가로지르기, 민음사, 1997.
· 이정우, 시뮬라르크의 시대, 거름, 1999.
· 이진경 외. 철학의 탈주, 새길, 1999.
· 이택후․유강기 주편, 중국미학사, 권덕주․김승심 역,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2.
· 온조동, 중국회화 비평사, 강관식 역, 미진사, 1994.
· 왕백민, 동양화 구도론, 강관식 역, 미진사, 1997.
· 자크 데리다, 입장들, 박성찬 엮, 솔, 1996.
· 장입문, 道, 동문선, 1995.
· 조민환,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예문서원, 1998.
· 최병식, 동양미술사학, 예서원, 1998.
· 최병식, 수묵의 사상과 역사, 현암사, 1988.
· 조지 롤리, 동양화의 원리, 김기주 역, 중앙일보사, 1980.
· 한국기호학회 엮음, 은유와 환유, 문학과 지성사, 1999.
· 한흥섭, 장자의 예술정신, 서광사, 1999.
· 조셉 칠더스․게리 헨치, 현대문학․문화 비평 용어 사전, 문학동네, 1999.
· 미술대사전, 승례문, 1994.
· Jacques Derrida, Margins of Philosophy, tr. Alan Bas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 Jacques Derrida, The Truth in Painting, tr. Geoff Bennington & Ian Mcleo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 ed. Peter Brunette and David Wills, Deconstruction and Visual Ar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 ed. Andreas C Papadakis, The New Modernism : Deconstructionist Tendencien in Art, Art & Design, vol.4 3/4, Great Britain E G Bond Press, 1988.
· George Rowley, The Principle of Chinese Painti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4.
· 葉朗, 中國美學史大綱, 上海人民出版社, 1987.
· 길호철, 禪사상과 수묵화의 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김상래, 노장사유의 해체적 이해, 한국정신문화연구소 한국학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8.
· 김인환, 동양예술론에 있어서의 ‘氣’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 김재관, 그리드의 형성과 해체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96.
· 이태호, 데리다의 해체시각에서 본 신표현주의의 양식규정의 문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 전성환, 노장사상과 수묵화의 사상적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 김형효, J. Derrida와 장자, 정신문화연구 제45호, 한국정신문화연구소, 1991.
· 김홍중, 자크 데리다의 해체 그리고 예술의 독해, 공간 2월, 1990.
· 뉴턴 가버, 데리다의 언어게임, 이승종 역, 철학 제 49호 겨울, 1996.
· 시미, 자크 데리다와 장자의 비교연구, 장원철 역, 외국문학 가을 제 13호, 1987.
· 엄기홍, 미술행위에서 창조적 배양을 위한 방법론적 부정성 연구, 청예논총 제 11호, 청주대학교 예술문화 연구소, 1997.
· 유병학, 그림보다 액자가 더 좋다. 금호미술관 개관기념 도록, 1998.
· 신묵 제10호, 신묵회.
· 월간 아트, 2000 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