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광고
- 최초 등록일
- 2009.04.30
- 최종 저작일
- 2009.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비교광고의 원칙(출처:Trading Standards. U.K)
♧비교광고에 관한 기사
♧느낀점
본문내용
자기회사의 상품이나 업무를, 경쟁하는 다른 회사의 것과 비교해서 자기회사의 것을 선택, 구입하는 편이 소비자에게 유리하다고 호소하는 광고. 종래에는 광고에서 경합브랜드를 지명하는 것은 비윤리적이며 업계의 미풍양속에 배치된다고 하는 통념이 지배적이었으나, 소비자보호운동(consumerism)이 대두한 미국에서, 특히 1970년대 이후에 성행하였다. 이것은 <진실하고 또한 공정한 비교광고는 소비자에게 필요하고 또 보탬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라고 하는 견지에서 그 이전에 있던 <브랜드X>와의 비교라고 하는 막연한 방법으로는 오해를 초래하며, 확실하게 경합상표를 지명하는 편이 좋다고 하는 주장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루어지는 비교광고는 다음과 같은 마이너스 효과가 지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결함을 극복해서 참으로 소비자에게 이바지하는 비교광고를 실시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고 하는 소리도 높다. 첫째, 비교광고는 자칫하면 사실을 왜곡해서 경쟁상대에 대한 중상과 비방이 되기 쉽다. 둘째, 1가지 또는 한정된 우월성을 기초로 해서 마치 전체가 우월한 것처럼 오인시킬 염려가 있다. 셋째, 상대방에게 불리하고 잘못된 데이터를 제시하거나, 자기상품보다 수준이 아래인 상대상품과 비교하게 되기 일쑤이다. 넷째, 다른 회사 비판은 상대방의 반격을 초래하며, 이전투구의 결과는 소비자를 혼란시켜서 광고에 대한 신용을 잃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소송문제로 발전하면 막대한 비용이 든다.
♧비교광고의 원칙(출처:Trading Standards. U.K)
허위 광고에 관한 훈령 84/450/EEC의 내용이 비교광고를 포함하도록 수정되었다. 동 훈령에는 비교광고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그 내용은
- 소비자의 오해를 유발해서는 않된다.
- 동일한 필요나 동일한 목적으로 제조된 상품 및 서비스를 비교해야
한다.
- 비교<광고>는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제품에 대하여 입증 가능하고,
대표적인 특성 등을 객관적으로 비교한 것이어야 한다. 여기에는 가격
도 포함될 수 있다.
- 비교광고는 시장에서 광고 주체와 경쟁 사업자 또는 광고 주체의 트
레이드 마크와 상품명, 기타 특징을 경쟁사업자의 것과 혼동을 초래
해서는 않된다.
- 경쟁 사업자가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상품명, 상표, 거래명, 기
타 특징 등을 나쁘게 평가하거나 훼손시켜서는 않된다.
- 원산지 표시가 있는 경우는 매 상품마다 동일한 표시를 하여야 한다.
- 경쟁 사업자 또는 경쟁 제품의 원산지 표시의 상품명, 상표명, 기타
특징의 명성을 악용해서는 않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