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생활지도의 모형(Model)
4.1 Parsons의 모형
4.2 교육으로서의 생활지도(guidance as education)
4.3 배치와 적응으로서의 생활지도(guidance as distribution and adjustment)
4.4 임상적 과정으로서의 생활지도(guidance as a clinic process)
4.5 의사결정으로서의 생활지도(guidance as decision making)
4.6 절충적 봉사로서의 생활지도
4.7 발달적 과정으로서의 생활지도(guidance as developmental process)
4.8 사회 조정으로서의 생활지도(guidance as social activism)
4.9 심리교육으로서의 생활지도(guidance as psychological education)
본문내용
1. 생활지도의 역사적 발달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키우고 교육시키는 사태에 동반
미국에서는 노동의 분화, 기술의 발달, 민주주의의 영향을 받아 발달
초기에는 Williamson으로 대표되는 지시적 상담 접근이론과 Rogers로 대표되는 비지시적 상담 접근이론이 관심을 끌었음
한국은 1945년 해방과 더불어 민주주의 이념과 아동중심 교육사상의 영향을 받아 태동
1.1 직업지도운동
1985년 기술학교에 근무한 George Merrill에 의해 직업지도의 실험적 연구가 시작
Merrill의 계획은 학교에서 배운 무역학도에게 탐색적인 경험 제공과 직업배치, 추후지도를 하는 것
생활지도의 원조인 Frank Parsons는 직업의 선택이란 책에서 직업선택을 위해 필요한 세가지 요인을 기술
교육계에서 강조되어 온 학생 개개인의 전인적 성장과 이에 따르는 통합적 교육활동의 필요성은 직업지도, 건강생활 등을 포함하는 통합된 생활지도 활동에 노력을 기울이게 함
파슨스에 의해 직업지도 운동은 미국 각 지역으로 확대됨
1.2 정신위생운동의 공헌
정신병원에서의 환자로서의 경험을 통해 정신병원의 비인간성과 잘못된 치료를 비판하였던 Clifford Beers의 영향을 받아 정신위생운동이 시작됨
1909년에 국민정신위원회 발족에 도움을 주어 정신적으로 병든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
1922년에 예일대학에 최초로 고등교육기관에 정신위생과가 설립
참고자료
· 1. 김계현(2000)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서울 : 학지사
· 2. 김충기(1990) “생활지도와 상담” 서울 : 교육과학사
· 3. 김충기(1998) “생활지도 ․ 상담 ․ 진로지도” 교육과학사
· 4. 이영덕(1991) “생활지도의 원리와 실제” 서울:교육과학사
· 5. 임규혁(1996) “교육심리학” 학지사
· 6. 임형진(1990) “생활지도” 서울 : 교육과학사
· 7. 황응연(1988) “생활지도의 실제” 서울 : 갑을출판사
· -대구 경북 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카페 http://cafe.daum.net/dkmhsw
· -방과후 아동지도과 카페 http://cafe253.daum.net/_c21
· -http://cafe.naver.com/sillawelfareyoungboy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