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학파(중상학파, 이용후생학파)실학사상의 개념과 북학파(중상학파, 이용후생학파)실학사상의 목표 및 북학파(중상학파, 이용후생학파) 실학사상의 선구자 농암 유수원, 담헌 홍대용, 연암 박지원, 초정 박제가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북학파(중상학파, 이용후생학파) 실학사상의 개념
Ⅲ. 북학파(중상학파, 이용후생학파) 실학사상의 목표
Ⅳ. 북학파(중상학파, 이용후생학파) 실학사상의 선구자 농암 유수원
Ⅴ. 북학파(중상학파, 이용후생학파) 실학사상의 담헌 홍대용
Ⅵ. 북학파(중상학파, 이용후생학파) 실학사상의 연암 박지원
1. 실학사상의 기본 명제 : 이용·후생을 통한 가난 구제
2. 북학
Ⅶ. 북학파(중상학파, 이용후생학파) 실학사상의 초정 박제가
1. 북학의의 구성
2. 북학의의 중심내용
1) 이용후생(利用厚生)
2) 전통적인 검약주의에 대한 반대
3) 상업의 중시
참고문헌
본문내용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조선조의 통치이념인 주자학이 16세기의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1598)과 17세기의 정묘호란(丁卯胡亂 1627) 및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을 거치면서 한민족의 자주성과 노서민의 생활안정을 보장할 수 없는 비현실적인 사상으로 그 한계성을 드러내었다. 주자학의 정치적 목적인 차별적 중앙집권체제의 적용은 통치계급 내부의 갈등과 반목의 결과만을 초래하였고, 여러 차례에 걸친 사화(士禍)와 당쟁(黨爭)의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실은 기본적으로 중국의 한족(漢族)이 한족 이외의 다른 민족에 대한 한족의 지배권 확보를 목표로 발전시킨 유학자체의 모순에 기인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 직면하여 주자학 및 유학 자체의 한계를 비판하고 민족자주성 확립과 철저한 국내적 개혁을 통한 국가발전을 목표로 자주적 사상을 전개하려는 사상적 경향이 나타났다.
Ⅱ. 북학파(중상학파, 이용후생학파) 실학사상의 개념
조선 후기 실학의 한 분파로 상공업 발달을 중시한 학파로서 이용후생학파(利用厚生學派), 북학파(北學派)라고도 한다. 실학은 조선 후기 특수한 사회적경제적 상황 속에서 산출된 사상으로서 무엇보다도 공리공담이 아니라 실질적인 것, 실제적인 것을 추구하는 학문이며 그것을 통해 현실을 개혁하려는 경세치용(經世致用)의 학문이다. 나아가 실제 사회에 이용될 수 있는 이용후생의 학문이었다. 〈서경〉 대우모(大禹謨)에 수록된 `이용`이란 백성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각종 기계나 운송수단 등을 말하며, `후생`이란 의복이나 식량 등을 풍부하게 하여 백성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대체로 18세기 이후 실학의 흐름은 이익으로 대표되는 경세치용학파와 박지원·박제가·홍대용으로 대표되는 이용후생학파 및 완당 김정희에 이르러 일가를 이룩하게 된 실사구시학파로 대별된다. 그러나 이 세 유파가 제각기 학문분야를 달리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념과 방법에 있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