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환경과 농업
- 최초 등록일
- 2009.04.13
- 최종 저작일
- 2009.04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토양환경을 살펴보고, 농업과 연관하여 야기되고 있는 토양오염을 알아본다. 이러한 토양오염을 막기위한 대책과 예방을 검토해본다.
목차
토양환경과 농업
1. 토양 (soil) 의 구성요소
2. 토양의 층위 soil horizon
1) 토양의 층리구조
2) 토양 속 물의 이동
3. 토양의 조직 (soil texture)
4. 토양의 공극 soil porosity
5. 토양의 산도
6. 토양의 비옥도를 높이는 방법
7. 식량생산 형태
8. 현재의 세계 영양부족 실태
9. 세계 식량문제의 해결
10, 식량생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1) 비료에 의한 오염
2) 수질오염
3) 살균제 및 살충제 등의 농약 사용
11. 식량자원의 보호 : 농약과 해충방제
12. 토양을 오염시키는 물질
13. 토양오염을 줄이기 위한 방법
본문내용
1. 토양 (soil) 의 구성요소
① 침식된 암석
② 부식되어 가는 유기물
③ 물
④ 공기
⑤ 수천 종의 생물, 분해자
- 재생 가능한 자원이지만 암석의 풍화와 생물군집의 안정은 오랜 시간이 필요
- 식량제공, 나무, 종이, 섬유 및 의약품 제공, 마실 물 정화, 생분해성 쓰레기들 분해하고 재활용하는데 도움을 준다
-인간의 활동은 토양침식을 증가시킨다. 토양 유실은 문명의 붕괴를 가져올 수 있다.
2. 토양의 층위 soil horizon
1) 토양의 층리구조
① O 층 (O horizon)-지표 유기물층
낙엽, 나뭇가지, 동물분비물, 곰팡이 및 여타 유기물로 구성
갈색이나 검은색
② A 층 (A horizon)-표토층
부식질: 부분적으로 분해된 유기물, 무기광물 입자
하층부보다 더 어두운 색을 띠며 덜 촘촘하다
⇒ 식물뿌리, 토양 유기체는 O, A층에 집중되어 있다.
;물 저장, 홍수로 인하여 황폐화되는 것을 막아 줌
⇒ 박테리아, 균류, 지렁이 및 작은 벌레들로 구성
⇒ 표층 한줌 흙 속 – 수십억 마리의 박테리아 및 다른 분해자인 미생물
:인간과 다른 육상 생물에 필요한 영양분을 재순환
:고분자 유기물질을 물에 녹을 수 있는 간단한 무기물질로 분해
③ B 층 (B horizon) – 심토층(subsoil)
④ C 층 (C horizon) – 모재층(parent material)
⇒ 토양 무기물질 포함(모래, 실트(silit), 점토, 자갈 등)
⇒ C층은 기반암(bedrock)이라 불리는 풍화되지 않은 모암 위에 놓여 있다
2) 토양 속 물의 이동
① 투수 infiltration
- 토양조직에 따라 좌우된다.
② 용탈 leaching
3. 토양의 조직 (soil texture)
1) 토양의 조직 ; 토양의 입자 크기 구성
2) 입자크기에 따른 토양입자의 분류
① 점토 clay (0.002mm이하 )
② 실트 silt (0.02∼0.002mm )
③ 모래 sand (2∼0.02mm)
④ 자갈 gravel (2mm이상)
⑤ 부식질 humic suabstance ; 식물 분해의 잔재물
⑥ 양토
점토. 모래, 실트, 부식질이 균등하게 섞여 있어 투수성이 좋고,
경작에 좋은 토양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