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북한의 명절][남한의 명절][한국의 명절][중국의 명절][일본의 명절][미국의 명절]북한의 명절, 남한의 명절, 중국의 명절, 일본 명절, 미국 명절(명절, 전통명절, 북한명절, 중국명절, 일본명절, 미국명절)
- 최초 등록일
- 2009.04.13
- 최종 저작일
- 2009.04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북한의 명절, 남한의 명절, 중국의 명절, 일본의 명절, 미국의 명절에 관한 심층 분석
목차
Ⅰ. 북한의 명절
1. 북한의 8대 국가 명절
2. 민속명절 기원의 예와 북한의 추석
3. 북한의 최대명절
4. 설날
1) 어원
2) 설날풍습
5. 단오
6. 추석
7. 석탄절 북한최대의 명절
8. 명절이 복권되었다는 의미
Ⅱ. 남한의 명절
1. 남한의 세시명절의 분류
1) 봄
2) 여름
3) 가을
4) 겨울
2. 대표적인 세시명절
1) 설날
2) 추석
Ⅲ. 중국의 명절
1. 신년(신정)
2. 춘절(설날)
3. 원소절(정월대보름)
4. 중추절(추석)
Ⅳ. 일본의 명절
1. 설날
2. 성인의 날(成人の日)
3. 단오절(端午の 絶句)(5월 5일)
4. 오봉(お盆)(8월 15일 전후)
5. 시치고상(七五三 )(11월 15일)
6. 일본의 명절음식
Ⅴ. 미국의 명절
1. 추수감사절
2. 크리스마스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북한의 명절
북한에서 명절은 남한처럼 전통민속명절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것 외에 국가경축일, 국제기념일까지 모두 통틀어서 하는 개념이다. 북한의 명절은 8대 국가명절과 4대 민속명절로 되어 있다. 명절은 휴일이지만, 대신에 명절을 전후한 일요일에 노동을 해야 한다.
1. 북한의 8대 국가 명절
신정(1월1일), 김일성 생일(4월15일), 김정일 생일 (2월16일), 정권 창권일(9월9일), 노동당 창건일(10월10일), 국제노동절(5 월1일), 조국 해방일(8월15일), 헌법절(12월27일)이다. 북한의 4대 민속 명절은 음력설, 추석, 한식, 단오이다.
북한주민들은 4대 명절에 성묘하고 벌초하는 풍습은 여전히 지키고 있다고 한다. 다만 전통의례에서 벗어나는 점이 있다면, 설날에 세배를 하지 않고 조상에게 큰절을 올리지 않는다는 점이다. 제례를 집에서 지낼 경우 김일성부자의 초상화앞에 먼저 절을 올리고 조상을 추모한다는 점이 특이하다. 또한 북한주민들의 입장에서 가장 멸절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날은 김일성·김정일 생일, 9·9정권창립일, 10·10당창건일 등 국가명절이며 민속명절이 아님을 유의해 둘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이 날들에는 사탕·과자·돼지고기 등 특별배급품이 나오지만, 정작 조상의 음덕을 기리며 후손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민속명절날에는 아무 것도 안나와 그냥 지내는 휴일이상의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2. 민속명절 기원의 예와 북한의 추석
북한당국이 봉건유습 타파와 사회주의 생활양식을 외치며 조상숭배와 민간풍속을 봉건적 잔재로 매도했던 60년대 말˜80년대 중반에도 추석명절만큼은 그대로 유지시켰다. 당국이 민족 최대 명절이었던 추석을 일반 민속명절로 퇴색시키기는 했지만 완전히 없애버리지는 않았기 때문에 주민들은 매년 추석이면 빠짐없이 성묘를 다녀오곤 했다.
또한 추석날 조상의 묘에 가기 전 김일성 주석 동상, 혁명. 애국열사릉 등을 먼저 찾거나
참고 자료
김의찬·김봉석 : 클릭!일본문화. 서울 : 한겨레신문사, 1998
김원중 : 중국 문화의 이해, 을유문화사, 1998
이인호 : 중국 이것이 중국이다, 아이필드, 2002
조엘 웰렉 : 미국을 알면 세계가 보인다
주강현 : 북한의 민족생활 풍습, 대동, 1994
최상수 : 한국의 세시풍속, 서울 : 홍인문화사, 1969
최인학 외 : 한국민속학 새로 읽기, 민속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