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절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개념
1.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정의
2.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구성요소
3. 정신보건전문요원
제2절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발달
1. 구미(歐美)에서의 발달
2. 우리 나라에서의 발달
제3절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대상
1. 성격장애의 분류
2. 신경증의 분류
3. 정신분열증의 분류
제4절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기능
1. 정신과 치료팀과 협력
2. 환자 및 가족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3. 병원 내 프로그램계획과 정책결정에 참여
4. 지역사회자원 조직과 연결
5. 교육프로그램에 참여
6. 정신보건 및 지역사회에 정신사회재활을 위한 연구·조사
제5절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제6절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실천분야
1. 종합병원 신경과
2. 정신과병원
3. 보건소
4. 정신요양원
5. 사회복귀시설
6. 지역사회정신보건센타
본문내용
1.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정의
정신보건 사회사업이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서 그 활동영역이나 실천내용 그리고 실천기술 등의 차이를 가지게 되고, 그 나라의 사회문화적 여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정신의료기관 즉 정신병원, 종합병원, 신경정신과 등에서 시작한 정신의료사회사업 Psychiatric Social Work의 규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40년에 French는 "정신보건사회사업이란 정신의료기관에서 정신의학, 심리학, 정신분석학, 자아심리학, 그리고 사회과학 등의 지식과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사업에 방법론과 기술을 통하여 정신질환자의 회복활동에 다양하게 적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학문이며, 집단치료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활동업무에 적용된다."고 정의하였으며, 사회사업의 전문성을 정신의학실천에 기여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정신보건분야의 사회사업실제를 통한 실천적 지식체계를 구축하는데 크게 공헌하여 왔다.
참고 자료
김규수, 의료사회사업론, 서울: 형설출판사, 1998.
노창섭, 사회사업개론, 서울 : 새글사, 1971.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대한신경정신의학사, 서울 : 대한신경정신의학원, 1979.
서울특별시외, 서울특별시 지역사회정신보건사회사업 실행보고서, 1995.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외,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체계개발, 1994.
문인숙·양옥경, 정신장애와 사회사업, 서울 : 일지사, 1991.
양옥경, 지역사회정신건강, 서울 : 나남출판사, 1997.
Fink, A. E. et. al., The Field of Social Work, New York : Holt, Rinehart & Winston, Inc., 1949.
Kurtz. Russell H.(ed), Social Work Yearbook, New York : National Association Social Workers, 1954.
Social Work Yearbook, New York : N. A. S. W. 1960.
Arieli, Silven et. al.(ed), American Handbook of Psychiatry, Vol.Ⅴ. New York : Basic Books, Inc., 1974.
Timmes, Noel, Psychiatric Social Work in Great Britain(1939-1962), London : Routledge & Kegan Paul,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