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이론 및 원리
♠ 완충용액의 정의
약한 산과 그 염, 또는 약한 염기와 그 염이 같은 농도로 존재하는 용액은 산이나 염기를 약간 가해도 pH의 변화가 별로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용액을 완충용액(buffer solution)이라 하며 생체계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신진대사가 좁은 범위의 pH에서 진행되므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완충용액의 특징
완충용액은 양의 값을 가진다. 왜냐하면 염기를 첨가하면 pH가 증가하고 산을 첨가하면 pH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 완충영역 (buffer reigion)
약한 산을 약한 염기로 적정할 때 OH- 이온을 가해도 pH가 매우 느리게 변하는 영역이 있다. 이 영역을 완충영역이라 한다.
♠ 완충값 (buffer value)
완충용액의 pH 변화를 억제하는 능력을 말하며 완충지수(buffer index)라고도 한다. 완충값은 완충용액 1L 의 pH를 1만큼 변화시키기 위하여 가해주어야 하는 산이나 염기의 몰 수로 정의한다.
♠ 완충용액의 pH 계산법 (Henderson-Hasselbalch 식)
참고자료
· 1. 분석화학 - 정기호 자유아카데미
· 2. http://shin-asystem.co.kr/product%20list/수질분석계.htm
· 3. 물리화학 실험 - 자유아카데미
· 4. 화학 II 두산동아
· 5. 두산동아백과사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